뷰페이지

[씨줄날줄] 등로주의(登路主義) /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등로주의(登路主義) /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11-01 00:00
업데이트 2011-1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길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 지점과 지점을 이어주고 사람들이 서로 왕래하는 교통과 소통의 길이 일반적이다. ‘나침반 없이 여행하라.’는 말처럼 길은 때로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여정, 모험, 도전을 상징하기도 한다. 길은 또 철학적 사유, 깨달음의 길이기도 하다. 공자는 논어에서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했다.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를 여러 가지 단어 중에서 길 ‘도’(道)로 표현한 것은 생각하면 할수록 공감이 간다.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등정한 영국의 에드먼드 힐러리 경은 산에 왜 가느냐는 물음에 거기 산이 있으니 간다고 했다. 말없이 서 있는 산은 사람들에게 깨달음과 함께 도전의식을 불러일으킨다. 가이드를 앞세워 쉬운 코스를 택해 산에 오르는 것이 전통적인 등산이었다. 산 정상에 오르는 것이 지상의 목표여서 ‘등정주의’(登頂主義)라고 불린다. 이에 반해 절벽이나 암벽 등 난이도가 어려운 곳을 택해 험로를 개척해 가며 등산하는 것을 ‘등로주의’(登路主義)라고 한다. 영국의 등반가 앨버트 프레드릭 머머리(Albert Frederick Mummery·1855~1895)가 1880년 주창해 그의 이름을 따 ‘머머리즘’(Mummerism)이라고도 부른다. 길이 아니면 가지 말아야 하는데 ‘길이 끝나는 곳에서 비로소 등산이 시작된다.’고 했으니 그가 ‘등반계의 이단아’ ‘근대 등산의 비조’라고 불리는 것도 이상할 것이 없다. 그의 등로주의는 20세기 후반을 거쳐 21세기로 접어들면서 더욱 힘을 받고 있다. 히말라야 8000m 이상 14좌 완등은 1980년대 후반 이탈리아의 산악인 라인홀트 메스너에 의해 처음 허용된 뒤 지난해에는 우리나라의 여성 산악인 오은선씨에 의해 개방됐을 정도로 더 이상 범접할 수 없는 난공불락의 성이 아니다. 등산장비가 속속 개발되면서 지구상 전인미답의 길이 점점 없어졌으니 모험정신으로 무장한 산악인들이 새로운 등정루트를 찾아 도전하고 성취감을 맛보려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히말라야 안나푸르나봉 도전에 나섰다 실종된 박영석 대장도 등로주의 산악인이다.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남극, 북극을 정복한 그는 2009년 에베레스트 남서벽에 ‘한국인의 길’을 냈다. 이번에 안나푸르나와 로체에 ‘코리안 루트’를 새로 내려다 끝내 산사나이가 되고 말았다. “누구나 걸음마를 하잖아요. 그게 아마 최초의 도전 아닐까요?” 그가 안나푸르나로 가기 전 후원사 홈페이지에 남긴 말이다. 새 길을 찾으려다 먼 길을 간 그가 편히 쉬기를 빈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11-01 3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