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서울대 박사 4분의1이 백수라고?/명희진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서울대 박사 4분의1이 백수라고?/명희진 사회부 기자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무살 즈음에 우리는 저울대에 선다. 우리의 미래 가치를 재는 저울이다. 기준은 어느 대학, 무슨 학과에 들어갔느냐다. 사람들은 자기 앞에 서 있는 이 청년의 대학 간판과 학과를 통해 그가 앞으로 어떤 수준의 일을 하고, 어떤 대접을 받으며, 어느 정도의 경제생활을 누리게 될지를 재단한다. 인성이나 창의력, 추진력 등 그에게 내재된 본질적인 ‘스펙’은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

명희진 사회부 기자
명희진 사회부 기자
서울대는 그런 세간의 저울질에서 줄곧 정점에 있었다. ‘서울대 공화국’이라는 말은 ‘서울대 망국론’과 함께 동전의 앞면과 뒷면을 구성하며, 이 사회에서 서울대가 가진 지존의 위치를 대변해 왔다.

그러나 서울대의 위상도 지금은 예전 같지 않은 듯하다. 서울대 박사 출신 4명 가운데 1명은 ‘무직’이라는 통계를 보면 그렇다. 2010년 8월과 지난해 2월 서울대 박사과정을 졸업한 1054명 중 27%가 넘는 289명이 취업을 하지 못했거나 진로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2년 전 미취업 등의 비율이 15.4%였던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다.

물론 이 통계를 보고 서울대 박사 출신들이 갈 수 있는 일자리가 없었기 때문에 미취업자로 남았다고 생각한다면 단견일 것이다. 그보다는 그들이 스스로 만족하고 안착할 만한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결과라고 보는 게 진실에 가까울 것이다.

불편한 마음이 든다. 이를테면 ‘대기업’과 ‘비(非)대기업’으로 구분되는 우리 사회 일자리 양극화의 불편한 진실이 떠오르는 것이다. 서울대 박사 출신들도 이럴진대 ‘그저 그렇고 그런 대학’을 나온 사람들은 오죽할까 싶다. 탐욕스러운 자본주의에 항거하는 미국 청년의 ‘월스트리트를 점령하라’ 시위가 지난해 뉴욕을 휩쓸었다. 거기에는 명문 아이비리그 대학 출신들도 상당수 참여했다고 보도됐다. 붕괴된 청년 고용시스템과 갈수록 심화되는 양극화 속에 머잖아 서울대 박사들까지 머리띠를 두른채 거리로 쏟아져 나오는 꼴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mhj46@seoul.co.kr

2012-08-08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