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소리] ADHD, 환자만의 문제 아니다/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독자의 소리] ADHD, 환자만의 문제 아니다/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입력 2014-06-10 00:00
업데이트 2014-06-10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휴 동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았던 초등학생 A의 엄마는 나들이 대신 병원을 찾았다. 아들이 ADHD 진단을 받은 후 직장까지 그만두고 2년 넘게 뒷바라지를 했지만,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전문의 소견으로 아이의 건강만큼 걱정스러운 것은 엄마의 정신 건강이었다

ADHD 자녀를 둔 부모에게서 극심한 스트레스와 우울증 증상은 사실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많은 부모들은 아이의 증상이 혹시 내 탓이 아닐까 하는 죄책감을 느끼고, 성장기 아이의 정신과 질환 약물치료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다. 그래서 양육방식을 달리해 아이의 산만한 행동과 부주의함을 교정시키려고 노력한다.

우리나라 ADHD 아동의 약물치료는 학교생활과 학업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학교와 같은 단체생활에서 튀는 행동은 수업시간이나 교우관계에 문제를 초래하는데, 이 시간은 부모가 직접 돌볼 수가 없다. 따라서 학업에 지장이 없도록 학교생활에 한해 약물치료를 하는데 절반 정도가 6개월 이내에 치료를 중단한다.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지 않을 때 부모가 아이를 감당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으며, 부모의 인내심이 자칫 부메랑이 돼 아이에게 상처로 돌아갈 수 있다. 전문의 입장에서 ADHD 질환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자녀의 병력기록에 대한 편견으로 치료시기를 놓치고 나서 뒤늦게 전문적 치료를 찾는 현 상황이 매우 안타깝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2014-06-10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