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앵그리의 대상/이지운 정치부 차장

[데스크 시각] 앵그리의 대상/이지운 정치부 차장

입력 2014-06-06 00:00
업데이트 2014-06-06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거 분석은 공학적 접근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일지 모른다. 지역별·세대별 투표율과 응집력은 어떠했는지, 충청의 민심은 인천과 경기의 선거판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몇 가지 주요한 분석의 틀은 표심의 실루엣을 효율적으로 보여준다.

이미지 확대
이지운 정치부 차장
이지운 정치부 차장
그러나 이 역시 좀 더 세밀한 관찰을 하기에는 모자람이 많다. 주요 이슈와 소지역주의는 어떤 결과로 드러났는지, 이른바 ‘줄투표’는 어느 정도 이뤄졌고 어느 지점에서 어떻게 흐트러졌는지 등은 선거가 끝나고 한참이 지나도 그럴싸한 해설을 듣기가 어렵다.

‘정성적’(定性的) 문제로 들어가면 더하다. 예컨대 ‘앵그리맘’이 이번 선거에서 어떤 투표를 했을까는 누구나 매우 궁금해하는 것 중의 하나이지만 앵그리맘은 연령대가 어떻게 되고, 무엇에 화가 난 것인지를 캐들어가면 답을 내기가 쉽지 않다. 안산 단원고 학생 또래의 자식을 둔 여성을 앵그리맘으로 간주했다면, 사고를 둘러싼 모든 일들에 대한 사회적 ‘앵그리’를 너무 낮춰 잡은 것일 수 있다. 사고 초기 눈물을 너무 많이 흘려 눈물샘 이상으로 동네 안과를 찾아온 할머니들이 얼마나 많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세월호 사고로 쏟아진 눈물을 성별, 세대별로 나누려 한 것 자체가 오류의 시작일 수도 있다. 여기에 ‘대통령의 눈물’까지 더해 ‘세월호 심판론’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사실 아주 복잡한 고차방정식을 풀려는 일과 비슷하다.

표심으로서의 민심은 선거를 전후해 아주 잠깐만 고개를 내밀 뿐이다. 그리고는 다음 선거 때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수면 아래 깊이 모습을 감춘다. 그래서 그 순간적인 모습은 전문가나 정치인 중에서도 아주 숙련됐거나 재주를 타고난 소수만이 사진처럼 몇 가지 장면을 찍어낼 수 있다. 선거 예측이 날씨 관측과 비교되는 건 사람 마음이 구름·바람 이상으로 심오하고 변화무쌍해서인지 모른다.

이번 지방선거는 ‘중화제’ 노릇을 한 듯하다. 승패가 어정쩡한 결과는 정치 세력 중 누군가 하나에게 물으려 했던 ‘책임’의 위치를 흐릿하게 만들었다. 눈물을 쏟고 화도 치밀어 투표가 그 해방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없지 않았겠지만 선거 결과는 그 화 풀 대상을 분명하게 지정해주지 않았다. 소재가 모호해진 책임은 어쩌면 다시 각자에게 찾아야 하는지도 모른다. 사건 초기 한때 그랬던 것처럼, 하는 수 없이.

그런 점에서 선거는 정치도, 행정력도, 공권력도, 사회의 자정능력도 도저히 의지하기 어려웠던 지난 한 달 반 동안을 되돌아보게 하고 있다. 세월호가 물에 잠기면서 사회도 혼란에 빠져 제 힘으로는 도저히 빠져나오지 못할 듯 보였던 시간이다.

무엇보다 괴로운 것은 세월호가 쑤셔놓은 우리 사회의 수챗구멍으로 끊임없이 올라오는 구정물과 악취였다. 그렇게 많은 찌꺼기가 사회 밑바닥에 깔려 있을 줄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다. 쿨럭쿨럭 솟구치는 검은 물을 동그랗게 뜬 눈으로 지켜보는 일에서 진짜 무기력감은 시작됐다.

애시당초 선거는 이 무기력감을 해소할 수 없었는지 모른다. 수챗구멍 속의 찌꺼기는 심판의 대상이 아니라 제거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앵그리’의 대상일 수는 없다. 선거는 그것을 일러주었다. 결국 그 찌꺼기를 걷어내야 구정물과 악취로부터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슬프지만 다시 일상이다. jj@seoul.co.kr
2014-06-06 26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