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전북 삼례. 인간이 비참한 것은 본래 위대하기 때문.
특히 처음 1주와 2주는 짜증이 날 정도로 온몸이 답답했다. 걷는 것도, 씻는 것도 마음대로 할 수 없게 된 상황에 도무지 적응되질 않았다.
그러다 날짜가 지나니 조금씩 포기하고 길들여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족쇄에 조금씩 익숙해지는 것이다. 동남아에서 코끼리를 가혹한 고문으로 길들이거나, 송아지 코를 뚫어 길들이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본래의 자유로움을 빼앗긴 채 현실을 차츰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자유로웠던 본래 모습을 상기할 때마다 현재의 처지를 탄식하게 된다.
서기 3세기 로마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노스의 말이 떠올랐다. “나 자신으로 돌아왔을 때, 나는 도대체 어떻게 해서 내가 육체를 가지게 됐는지 의아스러웠다. 도대체 무슨 저락(低落)으로 인해 이런 일이 일어났는가?” 본래 자유롭고 위대한 존재였던 인간이 육신의 감옥에 갇힌 채 태어났음을 개탄하는 말이다. 육체의 질곡에 갇힌 채 탐욕과 갈망으로 치닫는 게 인간 실존 아니던가.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파스칼도 비슷한 말을 남겼다. “어떤 왕이 왕위에서 쫓겨나 평민으로 강등됐다면 그는 이 평민의 신분을 그지없는 비참으로 느낄 것이다. 그가 자신이 비참하다고 느끼는 것은 그의 본래의 신분이 위대하기 때문이다. 즉 그가 비참한 것은 본래 위대하기 때문이고, 그는 위대하므로 비참하다. 인간의 비참은 왕위에서 쫓겨난 폐왕(廢王)의 비참이라 할 수 있다.” 파스칼의 관점에서 인간의 위대함과 비참함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두 개의 축이다. 그래서 인간은 비참하면 할수록 더 위대하고, 반대로 위대하면 위대할수록 더 비참하다는 역설이 가능해진다. 통깁스의 불편한 현실이 본래의 자유로운 신분을 상기시켜주듯이.
곧 크리스마스다. 폐왕이 돼 버린 인간을 구원하고자 하늘의 존귀한 자리를 버린 성육신(成肉身)의 날이다. 비참하기에 위대한 역설적 존재, 인간의 존엄을 돌아보는 날이기도 하다.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0-12-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