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실세 연루된 ‘디스커버리 펀드’ 철저히 파헤쳐야

[사설] 실세 연루된 ‘디스커버리 펀드’ 철저히 파헤쳐야

입력 2022-02-10 22:12
업데이트 2022-02-11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국 사모펀드 사기피해공동대책위원회가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금융위 기업은행 제재 중징계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사모펀드 사기피해공동대책위원회가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금융위 기업은행 제재 중징계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주도했던 실세들이 사기성 사모펀드에 거액을 투자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서울경찰청이 그제 장하성 주중국 대사(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동생인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를 소환조사하는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이다. 장 대표는 펀드의 부실 가능성을 알고서도 판매를 강행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디스커버리 펀드 파문은 초기부터 ‘제2라임사태’로 불릴 정도로 의혹투성이였다. 해외 펀드에 투자했다가 부실이 발생하고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로 이어진 양상이 너무도 똑같다. 2019년 4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로 다수의 투자자들이 2562억원(지난해 4월 기준)의 피해를 봤지만 아직까지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다. 사건 초기 금융감독원 조사도 유야무야 끝났고 펀드 부실이 드러난 지 2년이 지나서야 늑장 수사에 착수한 점도 의문이다.

사기 의혹이 짙은 사모펀드 출시 당시 청와대 정책실장이던 장 대사와 공정거래위원장이던 김상조 전 정책실장이 각각 60여억원과 4억여원을 투자했다. 장 대사는 어제 입장문을 내고 특혜 의혹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석연치 않은 대목이 적지 않다. 문제의 펀드는 문재인 정부 초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대사의 동생이 대표인 자산운용사에서 출시돼 금융 시장에선 ‘장하성 동생 펀드’로 불렸다. 두 사람이 경제 실세로 군림하던 당시에 펀드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졌다는 점에서 권력형 비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신생 운용사의 사모펀드를 일부 은행들이 주력 상품으로 밀어줬다는 의혹도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 현재 사모펀드와 관련한 공직자윤리법에 명확한 규제가 없는 상태다. 이참에 악용의 소지가 없도록 사각지대를 없애는 법 정비도 필요하다.

2022-02-11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