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미끄러져 내려와도 기어이 올라가는 새해 계획이라는 언덕 말이다. 실제로도 4명 중 1명이 1주일 안에 포기한다고 하니 연말에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마치 방류한 연어가 잘 자라 남대천으로 돌아올 확률 수준이다. 그런데도 기어이 달력을 벽에 걸며 결심을 반복한다. 의지박약을 탓하기보다 몇 가지 근거 있는 확실한 요령을 알려 드릴 테니 실천해 보시기 바란다.
먼저 계획이 다이어트라면 3개월에 3㎏이란 구체적 목표가 좋다. 쩨쩨하게 월 1㎏이 아니냐고? 시작은 만만해 보여야 한다. 이 정도면 할 만하다고 여기는 것이 낫다. 원대한 포부, 강한 의지를 요구하는 만큼 부담과 저항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해야 할 것은 하루 중 미리 해 버린다. 운동을 열심히 하기로 했다고 치자. 아침에 할 수도 있고 일과 후에 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건 하기만 하면 될 것 같지만 여기에도 요령이 필요하다.
힘든 하루가 끝난 후라면 ‘이렇게 바쁘게 지냈는데, 또 뭘 해야 해? 꼭 그래야 해?’라는 번민이 생긴다. 내게 주어진 빈 시간인데 썩 즐겁지 않은 숙제같이 해치워야 할 운동을 해야 한다니. 저항감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당연히 망설이게 되고, 여러 이유를 대면서 그냥 집에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정주행을 하는 나를 발견하기 쉽다. 그러니 다른 선택지와 경쟁해서 지기 쉬운 일은 아예 아침이나 낮시간에 해치워 버리는 게 좋다. 더이상 망설이지 않아도 되고, 저녁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 마음도 편하다.
세 번째, 이전에 실패했던 계획은 시작도 하지 말자. 좌절의 기억은 해 봤자 안 돼라는 패배감과 처음부터 함께한다. 지금 절실한 것은 성공의 경험이다. 별것 아닌 듯하나 한 달 해보니 되더라는 기억이 실패에 익숙해져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시켜 준다. 그러니 이왕이면 안 해본 것을 도전하는 것이 좋다. 매번 실패한 것은 언제나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꽤 단단히 암초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신년 계획이라고 꼭 일 년을 단위로 계획을 세울 필요가 없다. 일 년은 아주 긴 시간이다. 끝이 보이지 않고 흐지부지되기 좋다. 우선 1주일을 목표로 구체적으로 해보자는 마음 정도가 딱 좋다. 더 멀리 본다면 한 달은 어떨까? 이 정도가 만만해 보일 것이다. 처음 시작은 이 정도가 좋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12월이 될 것이다.
실은 계획보다 결산이 더 중요하다. 꾸역꾸역 뚜벅뚜벅 해낸 것을 결산해 보는 연말을 잘 보내는 사람이 다음해 첫날을 기분 좋게 시작할 수 있다. 올 한 해 무엇이 내 안에 남을 것인가?
2022-01-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