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하층민 의식/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하층민 의식/박현갑 논설위원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명동에 4000원짜리 밥집이 있다. 사람들이 몰린다. 같은 명동엔 월 임대료만 9000만원대라는 150평짜리 가게도 있다. 건물주야 좋은지 모르지만 밥집 손님으로선 상대적 빈곤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그제 빈곤감의 확산을 확인하는 소식이 나왔다. 국민 3명 중 1명꼴로 자신의 소비생활 수준이 ‘하류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한국소비자원의 발표다. 한국소비자원이 성인남녀 1500명을 개별면접해서 밝힌 ‘2013 한국의 소비생활지표’에 따르면 자신이 하류층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 비율이 34.8%로 나왔다. 1994년 첫 조사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이다. 첫 조사에서 11.8%를 기록한 하류층 비율은 2002년 17.7%로 떨어졌다가 2007년 27.1%, 올해 34.8%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반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62.5%로 2007년에 비해 8.5% 포인트 줄었다. 중산층 몰락과 빈곤감의 확산이다.

최근 국가경쟁력 지표 하락에 이은 또 다른 우울한 소식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의 2013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148개국 중 25위로 지난해보다 6계단 떨어졌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월드 팩트북’(The World Factbook)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기준으로 우리나라를 세계 189개국 가운데 117위로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개인의 가처분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이 136%로 2003년 한국은행의 통계작성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놀랄 일도 아니다.

빈곤감의 확산은 자본주의 체제의 한계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외환위기 이전만 하더라도 회사의 성장은 나의 성장이었다. 내가 열심히 일해 회사 수익이 나면 그 성과가 보너스로, 월급 인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회사의 성장은 주주의 성장일 뿐이었다. 국가 간·기업 간 경쟁으로 적자생존의 원리가 강화되면서 주주는 자기 이익 챙기기에 바빴고, 근로자는 해고 아니면 뒷전이었다. 고용 불안을 느끼는 근로자로서는 불만이 쌓일 수밖에 없었다. 2년 전 자본주의 심장부라 할 만한 미국 뉴욕 월가의 ‘99대1 운동’은 자본주의로 인한 빈부격차를 더 이상 자본주의 시스템에 맡길 수 없다는 신호탄이나 다름없는 사건이었다.

우리 사회에도 변화 조짐이 있다. 사회적 경제를 외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제적 약자를 돌보는 사회적 기업운동과 협동조합 설립은 정책 방향이 어디로 가야 하는가를 시사한다. 하층민 의식의 확산을 사촌이 땅 사면 배 아파하는 빈곤감의 표현으로 무시할 게 아니라 고용창출로 이끌 지혜가 필요하다.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2013-09-07 27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