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강국이 디스토피아로…” 尹 계엄령에 국제사회 ‘충격’

“문화강국이 디스토피아로…” 尹 계엄령에 국제사회 ‘충격’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4-12-07 15:01
수정 2024-12-07 15: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신 “충격” 한국 군사독재 조명

이미지 확대
국회 본청 진입하는 계엄군
국회 본청 진입하는 계엄군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저녁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밤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계엄군이 국회 본청으로 진입하고 있다. 2024.12.4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윤석열 퇴진 대학생 시국대회
윤석열 퇴진 대학생 시국대회 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퇴진 대학생 시국대회’에서 대학생들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며 손팻말을 흔들고 있다. 2024.12.7 연합뉴스


최근 몇 년간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드라마 ‘오징어게임’ 등으로 대표되는 한류 열풍이 세계적으로 확산됐지만, 이번 계엄사태는 한국의 또 다른 모습을 국제사회에 보여줬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6일(현지시간) “K팝과 독재자들: 민주주의에 가해진 충격이 한국의 양면을 드러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그동안 한류 열기에 가려져 있던 한국의 군사 독재 역사와 권위주의 문화를 조명했다.

가디언은 이번 계엄사태가 군사 독재 시절을 경험하지 못한 국내외 젊은 세대에게 특히 큰 충격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한류 열풍 속에서 한국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문화 강국으로 자리 잡았지만, 난데없이 터진 계엄사태는 현실판 디스토피아와도 같았다는 설명이다.

이어 “서울 국회의사당 밖에서 의원들이 담장을 기어오르고, 군용 헬기가 머리 위를 날며, 민주주의를 되찾기 위해 시민들이 무장 군인과 대치하는 모습은 한류의 긍정적 이미지와 극명히 대비됐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민주화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국제사회에 알려졌지만 가디언은 “35년이 채 지나지 않은 민주화 이후에도 한국 사회에는 권위주의적 잔재가 남아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이번 계엄사태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고교 동문 네트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의혹도 이를 방증한다고 지적했다.

한 시민은 “올해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으면서 쌓아 올린 한국의 평화로운 이미지가 한순간에 무너졌다”고 한탄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 3일 밤 계엄령 선포 직후 계엄군이 국회에 들어왔다가 나가는 과정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이 5일 공개됐다. 계엄군은 헬기를 타고 국회운동장에 착륙해 국회의사당으로 진입했고(왼쪽 사진) 국회 직원들은 국회의사당 3층 중앙홀로 접근하려는 계엄군을 저지했다(가운데 사진). 오른쪽은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처리된 뒤 계엄군이 국회사무처 경호기획관실 직원 등의 유도에 따라 철수하는 모습. 국회사무처 제공
지난 3일 밤 계엄령 선포 직후 계엄군이 국회에 들어왔다가 나가는 과정이 담긴 폐쇄회로(CC)TV 영상이 5일 공개됐다. 계엄군은 헬기를 타고 국회운동장에 착륙해 국회의사당으로 진입했고(왼쪽 사진) 국회 직원들은 국회의사당 3층 중앙홀로 접근하려는 계엄군을 저지했다(가운데 사진). 오른쪽은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처리된 뒤 계엄군이 국회사무처 경호기획관실 직원 등의 유도에 따라 철수하는 모습.
국회사무처 제공


이미지 확대
촛불들고 모인 시민들
촛불들고 모인 시민들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정권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2024.12.5 뉴스1


영국 텔레그래프는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리고, 한 국가를 위기에 빠뜨린 대통령’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특히 충격적인 점은, 경제 및 군사 안보의 중추적 글로벌 파트너이자 규칙 기반 자유주의 질서의 지지자로 알려진 한국에서 윤 대통령이 계엄령 선포를 결정했다는 사실”이라며,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윤 대통령이 ‘친북 세력 제거’와 ‘자유민주적 헌정 질서 수호’만을 언급했을 뿐, 계엄령 발동의 구체적 이유는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계엄령이 선포됐던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언급했다. 이어 “40년이 지난 지금 윤 대통령이 야당과 북한을 연계해 ‘반국가’ 활동을 벌였다는 이유로 계엄령을 선포한 것은 터무니없다”며 “이번 조치는 많은 한국인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1980년대 후반 민주화 이전 군부 통치 시절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