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생생 리포트] ‘존재의 이유’ 사라진 베이징 동네 도서관

[특파원 생생 리포트] ‘존재의 이유’ 사라진 베이징 동네 도서관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9-29 22:24
수정 2017-09-29 2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변두리 허름한 건물에 먼지만 수북…주민 문화공간 개념 없이 명맥 유지

중국 베이징에는 ‘동네 도서관’이 드물다. 지난 23일 바이두에 도서관을 입력해 봤다. 국가도서관, 수도도서관, 구별 구립도서관, 대학도서관 등 대형 도서관이 차례로 검색됐다. 이런 곳은 집에서 멀기도 하거니와 출입이 엄격하게 통제된다. 책을 읽는 공간이라기보다 박물관 또는 관광지의 기능이 더 강하다. 한참을 검색하다 집 근처 3㎞ 거리에 작은 도서관을 발견했다. 허름한 아파트 단지 안에 ‘문화서비스센터’라는 간판이 걸린 건물이 을씨년스럽게 서 있었다. 창문에는 철창이 설치돼 있고, 건물 벽에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사진과 사회주의 핵심가치관 구호가 적혀 있었다.
중국 베이징시 차오양구 왕징 주변에서 찾은 동네 도서관. 열람실은 텅 비어 있고, 빛바랜 책에는 먼지가 쌓여 있다.
중국 베이징시 차오양구 왕징 주변에서 찾은 동네 도서관. 열람실은 텅 비어 있고, 빛바랜 책에는 먼지가 쌓여 있다.
도서관이라기보다는 파출소 분위기가 물씬 풍겼다. 토요일인데 정문은 잠겨 있었다. 뒤로 돌아가니 무기고 철문처럼 보이는 후문이 살짝 열려 있었다. 2층으로 올라가니 드디어 도서관이 나타났다. 책꽂이에는 10년쯤 돼 보이는 누렇게 변색된 책이 꽂혀 있었다. 사람의 손길이 언제 닿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먼지가 뽀얗게 쌓였다. 도서 검색기는 전선이 끊긴 채 방치돼 있었다. 책의 향기가 아니라 유령의 기운이 느껴졌다.

열람실 옆 사무실에서 사람 소리가 들렸다. 직원 4명이 모여 있었다. ‘한국인인데, 도서관을 이용하고 싶어서 왔다’고 하자 이들의 눈이 휘둥그레졌다. 직원들은 “도서관이 맞긴 맞는데 책을 읽기보다는 주민들의 소규모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이 더 크다”고 소개했다. “책을 읽으러 온 사람은 수개월 만에 당신이 처음”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중국인들은 책을 어디서 읽느냐’고 되물었다. 한 직원은 “학생은 학교에서 읽고, 어른은 집에서 읽는다”고 말했다.

책을 읽는 공간을 넘어 문화 공간으로 자리잡은 한국의 도서관 개념이 중국에는 아직 없는 것처럼 보였다. 아파트마다 수려한 정원을 꾸미면서도 도서관은 가장 허름한 아파트 변두리에 방치한 이유도 알 듯했다. 이용하는 사람이 없으니 도서관을 눈에 띄는 곳에 지을 필요도 없었다. 바이두에서 ‘도서관 학과’를 검색해 봤다. 도서관 학과가 있는 대학은 15개 대학뿐이었다. 대부분이 지방대였다. 중국인이 신처럼 모시는 마오쩌둥은 도서관 사서였다. 책을 향한 마오의 열정을 중국이 제대로 기억한다면 도서관을 이렇게 푸대접하지는 않을 것이다.

글 사진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9-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