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가 100달러 육박… 글로벌 공급망 혼돈… 러 결제망 차단되면 국내기업 충격 클 듯

유가 100달러 육박… 글로벌 공급망 혼돈… 러 결제망 차단되면 국내기업 충격 클 듯

류지영 기자
류지영, 송수연, 임주형 기자
입력 2022-02-22 22:36
업데이트 2022-02-23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니켈값 올해 20% 가까이 올라
알루미늄값 사상 최고치 근접
무역수지 악화에 인플레 자극
금융위 등 금융시장 긴급 점검

이미지 확대
코스피 장중 2700선 붕괴
코스피 장중 2700선 붕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에 자국군 진입을 명령한 2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에서 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지정학적 위기까지 겹치면서 글로벌 공급망 대란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한 가운데 이번 사태로 산업용 금속 가격까지 폭등하면 인플레이션 압력과 공급망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분석이다.

22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이날 니켈 현물 가격은 t당 2만 4870달러 선에서 거래되며 상승세를 이어 갔다. 니켈 가격은 글로벌 공급망 대란이 불거진 지난해에만 25% 급등했고 올해에도 20% 가까이 뛰었다. 알루미늄 역시 t당 3315달러 선에서 주문이 이어지는 등 2008년 7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3380달러)에 근접했다.

러시아는 세계 2위 천연가스·알루미늄 생산국이자 전기차 핵심 소재인 팔라듐과 백금, 구리, 니켈의 주요 산지다. 광산기업 노르니켈은 세계 니켈 생산량의 10%를, 제련기업 루살은 알루미늄 생산량의 6%를 차지한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경제 제재로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되면 유럽 경제도 직격탄을 맞는다. 러시아 기업들의 자원 수출이 차단되면 주요국들의 광공업 생산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밀 가격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러시아는 세계 1위, 우크라이나는 세계 5위 밀 수출국이다. 전쟁이 벌어지면 국제 식량 가격도 춤을 출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했을 때 밀 선물가격이 30%가량 치솟았다. 러시아의 방대한 공급망을 대체할 수 있는 나라는 중국밖에 없지만, 미중 패권 경쟁 상황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손을 내밀 가능성은 거의 없다.

우리 경제 역시 대러 수출 기업을 중심으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제 유가 급등으로 무역수지 적자가 심화되고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 러시아는 지난해 우리 수출의 1.6%(100억 달러), 수입은 2.8%(174억 달러)를 차지한 10위 교역대상국이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심화할 경우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화장품 등을 중심으로 교역 차질이 예상된다.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국내 기업의 수입 부담은 커지고 무역수지는 악화될 전망이다. 특히 원유 가격 급등은 경제 전반에 큰 짐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가 되면 경제성장률이 0.3% 포인트 하락하고, 소비자물가는 1.1% 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12월과 올 1월에 이어 이달도 20일까지 16억 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서방 제재로 러시아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에서 배제될 경우 우리 기업은 대금결제 지연·중단에 따른 손해와 우회 결제로 마련을 위한 추가 비용 발생이 불가피하다.

금융당국은 잇따라 긴급 금융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시장 동향을 예의주시하기로 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연석회의’를 열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보다 긴박하게 전개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도 러시아 관련 외환 결제망 현황과 일별 자금 결제 동향을 점검하는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과 외국인 투자 동향 24시간 모니터링에 들어갔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서울 송수연
세종 임주형 기자
2022-02-2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