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윤회사상의 숙명론을 반박하다

불교 윤회사상의 숙명론을 반박하다

입력 2010-03-31 00:00
업데이트 2010-03-31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광준 日 붓쿄大 교수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 펴내

윤회(輪廻) 사상은 복지 정신에 반(反)한다?

이미지 확대
박광준 일본 북쿄대학(佛敎大學) 사회복지학과 교수
박광준 일본 북쿄대학(佛敎大學) 사회복지학과 교수


종교계 일각에서는 불교의 윤회 사상이 신체적 장애 등 현세의 고난을 전생에 지은 죄업의 당연한 결과로 본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불교의 일부 교리가 사회복지 정신에 맞지 않는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신간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한길사 펴냄)를 펴낸 박광준(52) 일본 붓쿄대학(佛敎大學)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런 해석에 반대한다. 그는 2500여년 전 붓다가 남긴 가르침과 실천을 통해 현대 사회복지의 원리를 추출해 내고, 또 이를 바탕으로 복지에서의 불교 사상의 적용법을 살핀다.

박 교수는 “장애 문제와 관련해 윤회를 그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불교에 대한 오해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그는 “전생의 악업 탓에 장애의 몸이 됐다는 것은 일종의 숙명론인데, 그런 숙명론은 불교가 중국을 지나면서 유교의 영향을 받아 생긴 것”이라고 반박한다.

그에 따르면 윤회는 “악업 탓에 현세에 장애의 몸이 됐다.”는 운명 문제가 아니라, “내세의 복을 위해서는 현세에 더 열심히 수행을 해야한다.”는 정진(精進)의 문제다. 그러니 윤회를 믿는다면 더 나은 내세를 위해 오히려 현세에 복을 쌓는 활동을 해야 하는 것이다.

불교의 연기(緣起)적 세계관 역시 복지 정신과 맞닿는 부분이 있다고 강조한다. 불교의 시각에서 보면 모든 생명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 그러니 사람은 자기 행복만을 추구해서는 안되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도 무엇인가를 실천하는 복지 정신을 가져야만 하는 것이다.

박 교수는 붓다의 인간평등 정신도 부각시킨다. 붓다는 신분제가 공고하던 인도에서 인간평등을 설파했으니, 불교에서는 “장애-비장애의 구별도 없는 게 마땅하다.”고 그는 분석한다. 조건없는 자비의 실천,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菩薩道)의 실현, 내세의 복을 가꾸는 복전(福田) 등도 복지 정신과 맞닿는 불교 교리라고 역설한다. 사회복지 사업의 필연성을 교리 측면에서 따져본, 드문 연구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3-31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