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 ‘서당’
그리스 시대에 광장이 있었다면 우리에게는 서당이 있었다. 그동안 서당은 우리에게 단순한 ‘글방’의 의미로만 알려졌을 뿐이었다. 하지만 서당에는 나름의 시스템이 있고, 철학이 있었다. 그리고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와 맞닿아 있었다.18세기 서당의 교육 기능과 역할을 토대로 21세기 교육이 나아갈 길을 고찰해 보는 EBS ‘다큐프라임’ 서당의 한 장면.
EBS 제공
EBS 제공
다큐프라임 서당은 단원 김홍도의 유명한 그림 ‘서당’에서 바로 튀어나온 듯한 인물들이 서당의 이야기를 드라마 형식으로 풀어 간다. 훈장에게 회초리를 맞는 제자, 제자에게 체벌을 가한 후 사뭇 울적한 얼굴을 하는 훈장, 그저 키득거리는 학동들의 모습들이 재미있어 보인다.
12살인 충희와 기영, 7살인 상준의 눈을 통해 보는 서당은 따사롭고 정겹기만 하다. 자식을 자녀처럼 생각하는 인자한 선생님, 후배와 선배의 1대1 멘토 시스템, 진도와 관계없이 익힐 때까지 배우는 완전학습이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적은 양의 지식이라도 알 때까지 반복 학습하는 개인교습 시스템은 서당만의 특징이자 가치이기도 하다.
서당에서 글만 가르친 것은 아니다. 산수풀이 희담이라 하여 수학도 배웠고, 날짜 세기, 각종 절기와 곡식의 종류, 과일과 꽃의 이름, 사물의 무게와 숫자, 인간 윤리에 이르기까지 상식과 지식을 총망라했다. 목적 없이 거니는 소요(산책)는 사색의 중요한 단초를 마련해 주었다.
사물을 깊이 관찰하고 본질에 다다르면 우주의 질서를 깨달을 수 있다는 유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항목을 스스로 깨닫게 하고자 했다. 서당의 가치를 잘 아는 민중은 가난한 살림에도 ‘서당계’까지 들며 아이들을 교육시키는 데 최선을 다했다.
1편 ‘18세기 서당 교육’에서는 서당의 전성기인 18세기 말 서당의 일상을 재구성해 서당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사실적으로 알아본다. 2편 ‘서당 공부론’에서는 지금과는 공부하는 목적이 달랐던 서당의 교육철학을 알아본다. 서당의 궁극적인 교육 목적은 ‘성인’(聖人)으로 가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성교육을 중시하고 배우는 모든 교재도 인성을 근본으로 다뤘다. 3편 ‘서당 교육의 생명력’에서는 신분 상승 욕구와 과거 시험의 과열 등으로 변화를 맞이하는 서당 교육의 변천을 알아보고 오늘날에 필요한 서당 교육의 생명력을 살핀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1-3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