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협회·미술평론가협회 세미나
“홍콩 정치적 불안정…한국이 세계적 잠재력”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국제아트페어’(키아프)에서 관람객이 전시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예술경영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요 경매사 낙찰총액만 3200억원대를 기록했다. 화랑과 아트페어 판매액 등을 모두 합한 시장 규모는 약 9157억원, 공공 영역 매출까지 포함하면 1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주최측은 “지난해 미술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무색할 만큼 역대급 호황을 누리고 새로운 컬렉터들도 많이 유입됐다”며 “올해는 세계적인 아트페어 프리즈와 국내 최대 아트페어 키아프가 공동 개최될 예정”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이임수 홍익대 미대 교수는 “아직 미미하지만, 경제력과 문화산업 기반을 가진 한국도 글로벌 미술시장에서 약진할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2020년 기준 세계 미술시장 규모는 501억달러(약 60조원)에 달한다. 반도체장비 712억달러, 차량용반도체 380억달러, 음반시장 216억 달러와 비교하면 작지 않은 규모다. 그러나 전체 미술시장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는 건 미국, 영국, 중국 3개국이다.
이 교수는 “한국 대중문화 분야의 성장과 세계적인 영향력을 보면 미술시장의 성장 역시 불가능한 건 아니다”라며 “미술산업의 중심지를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국내 미술계를 키우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에 아시아 미술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갖던 홍콩이 정치적인 불안정과 사상적 일방성 등 불안 요인을 안게 됐다”며 “이에 따라 자유로운 미술 문화 허브로서의 입지가 약해질 수 있는데, 한국은 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술품에 대한 세제 혜택 등 제도 보완도 강조했다. 개인의 문화비 소득공제 확대, 기업의 미술품 구입에 대한 손금산입(비용처리 인정) 및 문화비 한도 확대, 미술 감상 및 미술사 교육 강화 등이다.
박우찬 미술평론가는 ‘미술품 기증 활성화 방안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통해 지난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미술품 물납제에 관해 다뤘고, 임창섭 숙명여대 객원교수는 미술시장의 전문가 육성과 민간 기관의 역할에 관해 논의했다. 김유나 법무법인 아트로 대표 변호사는 미술시장에서의 최대 화두인 NFT의 방향성에 대해 발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