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소장처 3곳 총 6건 지정 예고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고려사’ 목판본.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23일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을해자 금속활자본 2건과 목판본 2건, 연세대 도서관과 동아대 석당박물관이 각각 소장한 목판본 1건씩 등 ‘고려사’ 판본 6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조선왕조실록’ 등 고대와 조선 시대사 관련 중요 문헌들이 모두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상황에서 고려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사서인 ‘고려사’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검토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고려사’는 당대인 고려시대에는 정식으로 편찬된 적이 없다. 조선 건국 후 태조 이성계의 명으로 정도전, 정총 등이 ‘고려국사’를 편찬했으나 태종 즉위 이후 개국공신들의 주관이 개입됐다는 비판과 조선 건국 과정에 대한 기록이 부실하다는 문제점 등이 제기됐다. 이에 변계량, 이숙번 등에게 수정 편찬을 명했지만 완성되지 못했다. 이어 즉위한 세종은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쳐 1449년 김종서, 정인지 등에게 편찬을 맡겼다. 2년 뒤에 완성됐지만 인쇄와 반포는 1454년(단종 2년)에 이뤄졌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소장한 ‘고려사’ 을해자 금속활자본. 문화재청 제공
연세대 도서관이 소장한 ‘고려사’ 목판본. 문화재청 제공
동아대 석당박물관이 소장한 ‘고려사’ 목판본.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고려의 역사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 사료이고, 고려의 문물과 제도에 대한 풍부한 정보가 수록됐다는 점 등에서 역사·문화사·문헌학적 가치가 탁월하다”고 소개했다. 현존 ‘고려사’ 중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자 목판 완질본이라는 점에서 서지적 가치 또한 높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