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다! 토끼야

반갑다! 토끼야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1-01 20:16
수정 2023-01-02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시로 만나는 계묘년

달에서 방아를 찧고, 호랑이 없는 굴에서 왕 노릇 하고, 간은 용왕의 병을 낫게 하고…. 토끼는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로 각종 속담, 우화, 동요에 종종 등장한다. 계묘년(癸卯年)을 맞아 토끼와 관련된 전시가 희망찬 새해를 소망하는 이들에게 토끼의 기운을 전한다.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토끼의 해를 맞아 ‘새해, 토끼 왔네!’ 특별전이 진행 중이다.  류재민 기자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토끼의 해를 맞아 ‘새해, 토끼 왔네!’ 특별전이 진행 중이다.
류재민 기자
●국립민속박물관 ‘새해, 토끼 왔네!’

토끼는 십이지 동물 가운데 네 번째로, 방향은 정동(正東), 시간은 오전 5~7시, 달로는 음력 2월을 지키는 방위신(方位神)이자 시간신(時間神)이다. 그래서 양기가 충만한 곳에서 본격적으로 하루가 시작되는 것을 의미하며 계절로는 봄에 해당한다. 강한 번식력으로 다산과 번성을 상징하고 달과 여성, 불로장생을 의미하는 등 우리에게 토끼는 상서로운 동물로 인식됐다. 토끼의 지능지수는 50으로 호랑이(45)나 거북이(20)에 비해 높은데, 이를 어찌 알았는지 조상들은 토끼를 꾀 많고 교활한 동물로 인식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이 준비한 특별전 ‘새해, 토끼 왔네!’는 옛사람들이 토끼를 어떤 방식으로 이해했는지, 지금 우리 곁의 토끼는 어떤 의미로 존재하는지 알아본다. ‘수궁가’의 한 장면을 묘사한 ‘토끼와 자라 목각인형’ 및 두 마리 토끼가 정답게 그려진 조선시대 민화 ‘쌍토도’ 등 70여점이 준비됐다.

1부 ‘생태만상’에서는 토끼의 외형과 습성에 옛사람들이 어떤 상징성을 부여했는지를 살핀다. 귀가 크고 길고, 눈이 동그랗고, 앞다리는 짧고 뒷다리는 길며 꼬리는 뭉툭한 토끼의 신체 부위별 특성에 따라 이야기를 분류해 흥미롭다.
이미지 확대
토끼와 자라 목각인형.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토끼와 자라 목각인형.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오르막을 빠르게 잘 달리는 특성 때문에 토끼가 꿈에 나오면 길몽이라고 해석됐고, 눈이 밝은 동물이란 인식은 ‘수궁가’에서 “퇴끼가 눈이 밝아, 별호를 명시(明視)라 하옵기를” 같은 구절로 나타났다. 용왕의 병을 낫게 해 준다는 토끼의 간은 허준(1539~1615)이 ‘동의보감’에서 “눈을 밝게 하고 어두운 것을 치료한다”고 했을 정도로 불로장생의 명약으로 취급받았다. 토끼를 입체적으로 만나는 전시는 오는 3월 6일까지 이어진다.

토끼는 오늘날에도 다양한 이미지로 쓰인다. 각종 어린이용품 및 생활도구 디자인에도 활용되고 있고, 좋아하는 아이돌의 생김새를 토끼에 비유하기도 한다. 과거부터 친숙했던 토끼가 오늘날 어떻게 다가오는지는 2부 ‘변화무쌍’에서 볼 수 있다. 전시장 안쪽의 별도 공간에 마련된 달 토끼의 세계에서는 달 모양의 조형물 등을 통해 달에 얽힌 토끼 이야기를 살필 수 있게 했다. 박물관 측은 “이번 전시를 통해 오랫동안 우리 삶 속에서 함께해 온 토끼의 생태와 민속을 알아보고 깡충 뛰어오르는 토끼처럼 2023년 행복과 행운이 상승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란다”는 덕담을 전했다.
이미지 확대
백자 청화 토끼 모양 연적.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백자 청화 토끼 모양 연적.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둥근 달을 바라보는 토끼.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둥근 달을 바라보는 토끼.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청자 투각 칠보 무늬 향로.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청자 투각 칠보 무늬 향로.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십이지 토끼상.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십이지 토끼상.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속 토끼 찾기

특별전은 아니지만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수많은 유물 속에 숨은 토끼를 찾는 재미가 쏠쏠하다.

지난해 11월 재개관한 청자실에는 귀여운 토끼 세 마리가 자기 몸보다 훨씬 큰 향로를 짊어진 국보 ‘청자 투각 칠보 무늬 향로’가 있다. 토끼가 갑옷을 입고 칼을 드는 모습을 그린 ‘십이지 토끼상’, 조선 19세기 말 유물인 ‘백자 청화 토끼 모양 연적’, 달에서 방아를 찧는 옥토끼가 있는 고려시대 청동 거울과 조선시대 그림, 사나운 매가 토끼를 잡으려는 상황을 그린 조선시대 그림, ‘토끼무늬 접시’ 등이 곳곳에 숨어 마치 보물찾기처럼 관람객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2023-01-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