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한 캐릭터와 대사… 상황 다루는 여유 돋보여 [서울신문 2025 신춘문예 - 희곡 심사평]

생생한 캐릭터와 대사… 상황 다루는 여유 돋보여 [서울신문 2025 신춘문예 - 희곡 심사평]

입력 2025-01-01 00:04
수정 2025-01-01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세혁·이오진

이미지 확대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 심사위원인 이오진(왼쪽)·오세혁 극작가가 응모작을 살펴보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 심사위원인 이오진(왼쪽)·오세혁 극작가가 응모작을 살펴보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202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는 예년보다 월등하게 많은 119편의 작품이 응모됐다.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이 눈에 띄는 작품과 일상의 작은 이야기를 섬세하게 다루는 작품, 두 가지 경향을 읽을 수 있었다. 전자는 아이디어에 집중하느라 캐릭터의 목표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고 연극성이 느껴지지 않는 점, 후자는 담백하게 그려 낸 이야기가 생생함에도 2025년에 새로이 발견하고 논의할 가치가 있는 희곡인가에 대한 고민이 깊었다. 두 경우 모두 녹록지 않은 현실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고통을 다룬 작품이 유독 많았다. 가난, 주거 문제, 취업 준비, 돌봄 노동, 사적 복수와 삶 속의 고독감을 이야기하는 작품들을 읽으며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돌아보게 됐다.

‘돼지꿈’은 인물들의 캐릭터가 생생하고, 대사와 상황을 다루는 작가의 여유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사투리의 운용이 읽는 재미를 더했다. 향후 공연화 과정에서 현재의 대한민국과 작품이 연결되는 지점에 대한 작가의 관점이 더해진다면, 무대에서 더 멋진 모습으로 관객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가족’은 서늘한 희곡이었다. 과감한 이야기 진행, 말맛이 있는 대사 덕에 한 번에 쭉 읽게 만드는 힘이 있었다. 장점이자 단점이었던 것은 작품의 구조가 단순하고, 한 편의 희곡보다는 아직은 장면 쓰기에 가깝지 않나 하는 인상이 있었다. 문제의식을 갖고 이야기의 핵심을 향해 전진하는 작가의 예리한 칼날이 다음 작품과 이 사회를 향해 나아가기를 바란다.

‘강릉96’은 무장 공비 침투사건 당시 남과 북의 군인이 28년 후 아파트 경비와 동대표로 만나게 되는 이야기다. 작가의 깊이 있는 리서치와 노년 세대에 대한 이해가 느껴졌다. ‘1인 가구’는 집안의 가구들이 서로 대화하며 오지 않는 주인을 기다리는 서글픈 이야기였다. 작가의 아이디어가 돋보이나 조금 더 옹골찬 희곡으로 여물기를 기다리게 된다. ‘도망’은 담백하고 담담한 대화가 이뤄지는 가운데 희곡 안에 일렁이는 힘이 느껴졌다. 예상 가능한 결말이 아쉬움을 남겼다. 주인공의 내적 갈등이 조금 더 복잡한 층위를 가진다면 더 멋진 희곡이 될 것이다.

‘돼지꿈’을 당선작으로 선정했지만, 희곡 부문에 응모한 모든 작가를 응원한다. 시대를 감각하고 자신을 돌아보며 글쓰기로 나아가는 작가들에게는 힘이 있다.
2025-01-0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