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숨쉬게… 띄어앉기 방역보다 객석 점유율 65%로”

“무대 숨쉬게… 띄어앉기 방역보다 객석 점유율 65%로”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01-14 22:14
수정 2021-01-15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소독·마스크·접촉 제한 수칙 잘 지켜
공연장 감염 1년 동안 0명… 효과 더 커

알바 떠나는 배우·스태프들 점점 늘어
떠나간 동료들 돌아올 수 있을지 걱정

이미지 확대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전쟁 중에도 멈추지 않았던 무대인데….”

사실상 ‘셧다운’ 된 공연계를 이야기하던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가 울컥하며 말을 잇지 못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두 자리 띄어 앉기가 의무화되면서 대형 뮤지컬들이 공연을 중단한 지도 한 달이 훌쩍 넘었다. 지난해 ‘레베카’, ‘웃는 남자’, ‘모차르트!’ 등 코로나19 한가운데서도 꿋꿋이 대작을 올렸던 EMK도 ‘몬테크리스토’ 공연을 못 하고 있다.

최근 한국뮤지컬제작자협회는 성명을 내 “단순히 공연계의 위기를 넘어 뮤지컬 시장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좀더 현실적인 방역지침을 고려해 달라”고 촉구했다. 엄 대표도 성명에 이름을 올렸다.

●좌석 65% 차도 손실이지만 무대 안 멈출 방법

14일 전화로 만난 엄 대표는 “좌석 띄어 앉기 대신 객석 점유율을 제한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했다. 관객들은 보통 두세 명이 모여 공연 전에 식당이나 카페에서 허기를 채우고 공연장에 온다. 이들이 떨어져 있는 시간은 공연을 보는 2~3시간 남짓. 내내 함께 있던 일행을 공연장에서 떨어뜨린다고 방역에 도움이 되느냐는 거다.

거리두기가 1단계였던 때에도 공연장 감염 사례가 없었던 건, 좌석 띄어 앉기가 아니라 철저한 소독과 QR코드 확인, 마스크 착용과 불필요한 접촉 제한 같은 방역 수칙 덕분이었다는 게 제작자들이 지난 1년간 현장에서 얻은 결론이다.

엄 대표는 “좌석 띄어 앉기로는 막대한 손해가 눈에 뻔히 보이니 투자자들도 투자 자체를 꺼리고 있다”고 털어놨다. 팬데믹이라는 상황이 있으니 공연 규제를 완전히 풀자고 억지를 쓰는 게 아니다. 다만 “‘객석 점유율 최대 65% 제한’까지라도 허용해 달라”고 주장했다. 점유율을 설정해 놓고 그 안에서 안전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객석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어차피 65% 안에서도 객석이 다 차지 않으니 대형 뮤지컬 손익분기점(70%)에 못 미쳐 손해를 보는 건 마찬가지”라면서도 “그래도 모두에게 ‘무대가 멈추지 않는다’는 믿음을 보여 줄 수 있는 적정선”이라고 강조했다.

●공연이 많은 사람에게 위로 주는 역할 하고파

“스태프나 배우들 모두 개런티와 제작비를 줄이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지만 통신비조차 못 내고 아르바이트를 나가는 이들도 늘고 있다”는 토로도 이어졌다. 엄 대표는 3월 개막하는 뮤지컬 ‘팬텀’ 대표 문구인 “세상이 무너진 이 순간, 너의 음악이 되리라”를 언급하며 다시 목이 메었다. “떠나간 이들이 다시 무대로 돌아올 수 있을지 걱정”이라는 그는 “엄중한 시기일수록 공연이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즐거움을 주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싶다”고 힘겹게 말을 이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1-01-1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