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책을 말한다]과학의 중심에서 바깥을 외치다

[내 책을 말한다]과학의 중심에서 바깥을 외치다

입력 2010-01-09 00:00
수정 2010-01-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조자 없는 창조?】

빅뱅과 블랙홀과 기본입자들과 양자는 현대물리학이라는 드라마에서 단연 돋보이는 주인공들이다. 과학자가 아니더라도 거의 누구나 이들의 이름을 안다. 그런데 참 역설적이다. 알고 보면 이들은 물리학뿐 아니라 과학 전체의 정갈한 이미지에 먹칠을 하는 악당이다.

구체적으로 빅뱅과 블랙홀은 시간이 영원히 한결같이 흐르고 공간이 끝없이 고르게 펼쳐졌다는 믿음을 무너뜨리는 악당, 난데없이 허다하게 튀어나오고 사라지는 기본입자들은 확고한 물질에 발을 디디려는 과학자에게 심각한 어지럼증을 안겨주는 악당이다. 게다가 양자는 무릇 객관적 지식의 가능성마저 갉아먹는 악당 중의 악당이다. 다소곳한 과학자는 이들을 앞에 두고 난감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과학을 이야기할 때 이들을 앞세우면 오히려 혼란만 일어나기 십상이다.

그런데도 독일의 물리학자 게르하르트 뵈르너가 쓴 ‘창조자 없는 창조?’(해나무 펴냄)는 빅뱅과 블랙홀과 기본입자들과 양자를 전면에 내세운다. 혹시 첨단과 최고에 쏠리기 마련인 대중의 관심을 사려고 그러는 것이 아닐까? 그럴 듯한 의심이지만, 실상은 다르다. 뵈르너에게는 다른 중요한 이유가 있다. 과학계 안팎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저 악당들은 그가 보기에 과학의 경계를 알려주는 푯말이요, 과학 바깥으로 열린 문이기도 하다. 그는 과학의 주인공들을 보여줌으로써 독자의 시선을 과학 바깥으로 이끌고자 한다.

고개를 갸웃거리는 독자도 있겠지만, 과학의 주인공이 또한 과학 바깥으로 통하는 문이라는 생각은 자못 의미심장하다. 주인공은 중심에 있고 출구는 가장자리에 있는 게 상식인데, 과학 나라에서는 주인공이 곧 출구, 중심이 곧 가장자리라는 뜻이니까 말이다.

그렇다면 과학의 중심에서 과학의 바깥을 이야기하는 것은 가능한 일일 뿐더러 필연적인 일일 것이다. ‘창조자 없는’은 이런 생각을 바탕에 두고 쓴 책이다. 거창한 제목이 붙긴 했지만 과학과 동떨어진 창조론 따위를 논하는 책은 아니다. 과학 안에 있는 과학의 바깥을 이야기하는 책, 안팎이 얽혀있는 이상한 과학 나라를 보여주는 책이다.

그런데 정말로 과학 안에 과학의 바깥이 들어있을까? 이 어려운 질문에 답을 주기라도 하듯이, 책 표지 중앙에 찬란한 물음표가 있다. 과학 안에 물음이 있음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또 모든 물음은 과학의 바깥과 통함을 부정할 사람도 없을 것이다. 과학의 중심에 물음이 있는 한, 과학은 안에 바깥이 들어있는 묘한 나라다.

책의 제목을 보고서 종교와 과학을 맞세워 한 쪽을 두둔하는 내용을 기대하는 독자들이 있을까봐 염려스럽다. 과학 안에서 과학 바깥의 요소들을 찾아내고 성찰하는 것이 책의 목표이므로, 과학이나 종교를 배척하고 자극적으로 공격하는 내용은 없다. 거듭 강조하지만 표지 중앙의 물음표를 보라. 제목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도 그 말없는 물음표다.

이 놀라운 우주를 상징하는 물음표, 현대물리학의 모든 성과를 집약한 그 물음표가 독자의 가슴에 남는다면, 어려운 물리학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헛된 책읽기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전대호 과학전문번역가
2010-01-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