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안 그런 척, 누군가에게 갑질하는 당신

[뉴스 전에 책이 있었다] 안 그런 척, 누군가에게 갑질하는 당신

입력 2017-07-07 17:40
수정 2017-07-07 1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갑과 을의 나라’

한국 사회 도처에 ‘갑질’이 넘쳐난다. 왕따를 경험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걸 보면, 좋은 걸 보고 배워야 할 학교에서부터 갑질은 넘쳐난다. 손톱만한 권력이라도 가졌다고 생각하면 저보다 조금이라도 힘이 약한 사람들을 무조건 밟고 보는 게 요즘 세태다.
이미지 확대
지난 7월 초 국회 설비과가 내부게시판에 ‘의원회관 승강기 이용 안내문’ 공고를 올리고 “작업용 물품 및 화물 운반 시에는 비상용 승강기를 이용”하라고 지시했다. 청소노동자들 종례 때는 더 구체적인 지시가 하달되었는데 “신문·우편물 등 짐을 운반할 땐 비상용 승강기를 이용하라”고 했다.

국회 청소노동자들은 월 몇 만원을 받고 하루 2번 의원실에 신문을 전해 준다. 한 명이 십여개 의원실을 전담하는데, 이때 ‘비상용 승강기’를 이용하라는 것이다. 문제는 승강기 개수. 의원회관 내 승강기는 모두 26대이지만 비상용은 4대에 불과하다. 갑질 논란이 일었지만 몇몇 국회의원과 보좌관이 청소노동자들을 응원하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훈훈하게 마무리되는 모양새다. 그럼에도 씁쓸하다. 2004년 국회의원 전용 승강기가 공식적으로 사라졌지만, 여전히 중앙 승강기는 높은 어르신들의 전용공간처럼 인식되고 있다.

갑질이 만연하면서 관련 책도 제법 여럿 출간되었다. ‘갑질 사회’처럼 고전적 제목의 책도 있고, 보기에 따라 선정적인 제목의 ‘갑질 연애학’, ‘빡쳐! 연애’ 같은 책들도 출간되었다. 갑질에 대한 가장 심도 있는 책은 아무래도 강준만 전북대 신방과 교수의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와 ‘갑과 을의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한국 사회 저변에 흐르는 갑질의 양태를 비교적 선명하게 찾아낸 강 교수는 ‘갑과 을의 나라’에서 조선시대 ‘관존민비’(官尊民卑)를 한국 사회 갑질의 뿌리로 지목한다. 관존민비는 “해방 이후 ‘전관예우’, ‘브로커’라는 사생아를 낳았고 선물과 뇌물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일련의 일들이 “‘전관예우 공화국’, ‘브로커 공화국’, ‘선물의, 선물에 의한, 선물을 위한’ 나라”를 탄생시켰다. 교육제도와 고시 등은 서열주의를 만들었고, 이는 갑질을 일상다반사로 만드는 주요 원인이다.
이미지 확대
한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에서는 을의 수렁을 탈출해 ‘갑의 세계’에 들어가고자 하는 한국 사회의 단면을 적나라하게 묘사한다. 강 교수는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이 단순한 속담이 아니라 “한국사회를 움직이는 모델이자 심층 이데올로기”라고 주장한다.

조선시대만 봐도 그렇다. 권세가의 자제부터 벽촌의 선비까지 오로지 과거시험에 목매고 살았다. 대학을 우골탑이라 부르면서까지 자식들을 공부시키려고 했던 무지렁이 부모들의 마음은 또 어떤가. 개천에서 용 나길 바라는 심리였을 게 분명하다. 한국사회는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용과 미꾸라지를 구분하는 신분서열제” 사회이며 “억울하면 노력해서 용이 되라는 왜곡된 능력주의”를 조장하는 사회다. 중요한 것은 그다음 지적이다. 한국이 개천에서 용 난 대표적인 나라지만 이제 “세상이 변해 이런 사례가 거의 없을 뿐더러” 개천에서 용이 나기 위해서는 “애초 누군가의 희생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두 책에서 강 교수는 “격차와 차별을 당연시하는 사회”를 우려한다. 그는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에서 “개천은 떠나야 할 곳이 아니라 대다수가 살아야 할 터전”이므로 함께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미지 확대
장동석 출판평론가
장동석 출판평론가
개천을 살 만한 곳으로 만들어야만 갑과 을을 구분 짓는 사회를 탈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평생 갑의 자리를 탐하면서도 안 그런 척, 지금도 누군가에게 갑질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글을 마치는 일이 조심스럽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7-07-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