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禁(금)하다/김성민 지음·옮김/글항아리/260쪽/1만 5000원
일본 SF 애니메이션의 전설 ‘아키라’가 만들어진 지 29년 만에 국내에서 정식 개봉한다는 소식이다. 제3차 세계대전 이후 폐허의 도쿄를 질주하는 소년들을 그린 이 일본 작품에 대해 국내 팬들은 잊지 못할 추억이 있다. 사실 ‘아키라’는 1991년 국내 극장에 걸린 적이 있다. 당시 일본 작품은 아예 극장 개봉을 할 수 없었는데 왜색(倭色)과 자극적인 장면을 걷어 내며 두 시간짜리를 80분짜리로 줄이고 ‘폭풍소년’이라는 홍콩 작품으로 신분 세탁까지 한 뒤 한국어 더빙판으로 상영됐다. 뒤늦게 일본산(産)으로 알려지며 일주일 만에 간판을 내려야 했지만.
비슷한 시기 일본 만화는 정식으로 들여올 수 있는 상황이었다. 물론 왜색이 없어야 한다는 단서 조항이 있기는 했다. 1992년부터 일본 만화 ‘슬램덩크’가 국내에서 정식 연재되며 열풍을 일으켰다. 작품 속 배경과 캐릭터는 한국식으로 바뀌었는데 강백호, 서태웅, 채치수가 사쿠라기 하나미치, 루카와 가에데, 아카기 다케노리라는 일본 이름 그대로였다면 신드롬을 일으킬 만큼의 인기를 끌었을지 물음표다.
1970~1980년대 TV를 통해 푹 빠져 살았던 ‘마징가Z’나 ‘은하철도999’가 나중에 커서 일본 작품이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배신감을 느꼈다는 경우도 많다. 번안곡 수준의 주제가도 신나게 따라 불렀는데, 훗날 한·일 축구 경기에서 양측 응원단이 ‘마징가Z’를 각자 응원가로 불렀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처럼 해방 이후 1998년 이전 일본 문화 금지 시대에도 일본 문화는 우리 일상 깊숙이 월경(越境)해 들어와 대중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문화사회학자이자 일본 홋카이도대 교수인 저자는 오늘날 한·일의 문화적 관계를 되짚기 위해 수십년간 지속된 금지와 월경 현상을 들여다본다. 그러면서 탈식민지화 차원에서 시작된 금지가 ‘일본 제국에서 미국 제국으로의 재편’을 통한 동아시아의 정치적, 문화적 동질화 과정이기도 했다고 분석한다. 박정희 정권 시절의 금지는 한·일 국교정상화에 대한 반발을 억제하고 정권의 친일 이미지를 상쇄하기 위해 실시된 상징조작 중 하나로도 해석한다. 이 시기부터 금지는 정치적 검열 성격도 갖게 된다. 저자는 “아무리 힘을 들여 경계를 긋고 바깥의 존재를 ‘위험하고 불결한 것’으로 규정하고 공고한 방어 장치를 작동시켜도 어느새 뒤섞여 이전에 보지 못한 새로운 것들과 만나게 되는 그 과정이야말로 문화이며 삶의 방식”이라고 말한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비슷한 시기 일본 만화는 정식으로 들여올 수 있는 상황이었다. 물론 왜색이 없어야 한다는 단서 조항이 있기는 했다. 1992년부터 일본 만화 ‘슬램덩크’가 국내에서 정식 연재되며 열풍을 일으켰다. 작품 속 배경과 캐릭터는 한국식으로 바뀌었는데 강백호, 서태웅, 채치수가 사쿠라기 하나미치, 루카와 가에데, 아카기 다케노리라는 일본 이름 그대로였다면 신드롬을 일으킬 만큼의 인기를 끌었을지 물음표다.
1970~1980년대 TV를 통해 푹 빠져 살았던 ‘마징가Z’나 ‘은하철도999’가 나중에 커서 일본 작품이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배신감을 느꼈다는 경우도 많다. 번안곡 수준의 주제가도 신나게 따라 불렀는데, 훗날 한·일 축구 경기에서 양측 응원단이 ‘마징가Z’를 각자 응원가로 불렀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전해진다. 이처럼 해방 이후 1998년 이전 일본 문화 금지 시대에도 일본 문화는 우리 일상 깊숙이 월경(越境)해 들어와 대중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문화사회학자이자 일본 홋카이도대 교수인 저자는 오늘날 한·일의 문화적 관계를 되짚기 위해 수십년간 지속된 금지와 월경 현상을 들여다본다. 그러면서 탈식민지화 차원에서 시작된 금지가 ‘일본 제국에서 미국 제국으로의 재편’을 통한 동아시아의 정치적, 문화적 동질화 과정이기도 했다고 분석한다. 박정희 정권 시절의 금지는 한·일 국교정상화에 대한 반발을 억제하고 정권의 친일 이미지를 상쇄하기 위해 실시된 상징조작 중 하나로도 해석한다. 이 시기부터 금지는 정치적 검열 성격도 갖게 된다. 저자는 “아무리 힘을 들여 경계를 긋고 바깥의 존재를 ‘위험하고 불결한 것’으로 규정하고 공고한 방어 장치를 작동시켜도 어느새 뒤섞여 이전에 보지 못한 새로운 것들과 만나게 되는 그 과정이야말로 문화이며 삶의 방식”이라고 말한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07-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