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글쓰기=자기애 실현”… 에세이로 풀어 낸 글 잘 쓰는 비법

“영화+글쓰기=자기애 실현”… 에세이로 풀어 낸 글 잘 쓰는 비법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24-09-13 00:46
수정 2024-09-13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
김중혁 지음/안온북스
520쪽/2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소설가 김중혁
소설가 김중혁


직업적 이야기꾼인 소설가들에게 극장은 또 다른 일터일 게다. 소설가는 본능적으로 남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귀를 쫑긋 세우고 머릿속 안테나를 펼친다. 극장에는 사람들을 매혹하는 기상천외한 이야기들이 넘쳐난다. 대학 시절 강의실보다 극장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냈다는 김중혁(53)이 소설가가 된 건 영화에 대한 진한 애정 때문이 아닐까.

그간 여러 편의 영화 관련 책을 펴내고, TV에서도 영화 이야기를 해 온 김중혁의 신작 ‘영화 보고 오는 길에 글을 썼습니다’는 글 잘 쓰는 비법을 에세이로 풀어낸 작법서 같다.

이미지 확대


그는 자신이 본 영화 중 “내 안의 뭔가를 건드린” 77편을 소개한다. 지난해 개봉한 한국 영화 ‘거미집’,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와 같은 근래 영화뿐 아니라 ‘컨택트’ 같은 10여년 전 영화들도 그의 리스트에 들어 있다. 모두 그의 내밀한 감성을 자극한 영화들이다.

그는 영화는 재료일 뿐 글쓰기의 본질은 영화로부터 시작되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소설가가 권하는 ‘영화+글쓰기’는 자기애를 실현하는 중독성 있는 작업이자 자신을 알아가는 방편이 된다.

보통 사람들인 우리는 TV 앞에서 ‘오늘은 무엇을 볼까’ 고민하지만 김중혁은 ‘어떤 문장으로 시작할까’ 혹은 ‘영화가 너무 좋아서 도저히 글을 쓸 수 없었다’며 편집자에게 읍소할 원고 펑크 변명을 떠올리는 걸 이 책을 보고 알았다. 그가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를 예시로 든 글쓰기 과정은 마치 대치동 강사가 주입식 강의를 하듯 머릿속에 쏙쏙 박힌다. 영화를 볼 때마다 무엇이든 쓰고 싶고, 잘 쓰고 싶은 이들을 향한 사려 깊은 동업자 정신이라고 할까.

우리는 영화를 보면서 타인의 삶을 경험한다. 처절하고 비열하고 안쓰러워도 아름다울 수 있는 게 인생이다. 그러한 생에 더 많은 이야기가 추가될수록 우리의 세계도 더 넓어지지 않을까. 영화를 통해 새로운 곳으로 나아간다는 그의 에세이를 읽다 보면 영화가 보고 싶어지고, 글을 써 볼까 하는 마음이 생기는 자신을 발견할지 모른다.
2024-09-13 2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