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담헌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담헌 홍대용의 ‘을병연행록’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2-25 17:48
업데이트 2015-12-25 19: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이프오르간 한국인 첫 기록… 악기 원리 설명 오늘날처럼 정확

조선 후기 대표적 실학자의 한 사람인 담헌 홍대용(1731~1783)은 서양 음악의 한국 전래 역사에도 특별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숙부 홍억의 자제군관으로 1765~1766년 베이징에 다녀오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에 담았다. 특히 파이프오르간과 만난 경험을 꼼꼼하게 적어 놓았는데, 이 대표적 서양 악기에 대한 한국인 최초의 기록이다.

이미지 확대
담헌 홍대용 초상. 중국 문인화가 엄성(嚴誠)이 그렸다.
담헌 홍대용 초상. 중국 문인화가 엄성(嚴誠)이 그렸다.
이미지 확대
‘을병연행록’. 어머니를 위해 한글로 썼다.
‘을병연행록’. 어머니를 위해 한글로 썼다.
이미지 확대
충남 천안에 있는 담헌의 무덤.
충남 천안에 있는 담헌의 무덤.
●“풍류 잡는 법 따라 하니 곡조 이룰 듯”… 첫 연주도

‘을병연행록’에 따르면 담헌이 오늘날에는 선무문천주당이라고도 불리는 남천주교당을 찾은 것은 1766년 1월 9일이다. 독일 선교사 유송령(劉松齡·아우구스티누스 폰 할베르스타인)과 포우관(鮑友官·안토니우스 고게이즐)의 안내로 내부를 둘러보다가 파이프오르간이 있는 곳에 당도한다.

‘남쪽으로 벽을 의지하여 높은 누각을 만들고 난간 안으로 기이한 악기를 벌였으니, 서양국 사람이 만든 것으로 천주에게 제사할 때 연주하는 풍류였다. 올라가 보기를 청하자 유송령이 매우 지탄(指彈)하다가 여러 차례 청한 뒤에야 열쇠를 가져오라고 하여 문을 열었다.’

‘풍류’가 곧 파이프오르간이다. 유송령은 이 악기를 자세히 보여 주는 것을 꺼렸던 듯하다. 홍대용은 그런 유송령을 귀찮을 정도로 졸랐고 결국 파이프오르간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틀 밖으로 조그만 말뚝 같은 두어 치의 네모진 나무가 줄줄이 구멍에 꽃혔거늘, 유송령이 그 말뚝을 눌렀다. 위층의 동쪽 첫 말뚝을 누르니, 홀연히 한결같은 저소리가 다락 위에 가득하였다. 웅장한 가운데 극히 정제되고 부드러우며 심원한 가운데 극히 맑은 소리가 나니….’

‘조그만 말뚝 같은 두어 치의 네모진 나무’란 건반이다. 파이프오르간은 보통 2단의 손건반과 발건반(페달)을 갖추고 있다. 담헌도 건반을 눌렀다. 그는 ‘그 말뚝을 두어 번 오르내린 뒤 우리나라 풍류 잡는 법을 따라 짚으니 거의 곡조를 이룰 듯하여 유송령이 듣고 희미하게 웃었다’고 했다. 파이프오르간으로 우리 곡조를 만들어보려 했던 것이다. 건반의 원리를 깨닫고 나서는 제법 멜로디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짚어 낼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악기는 바람을 빌려 소리 나게 해”… 관찰 꼼꼼

새로운 문명을 탐구하는 담헌의 자세는 매우 진지하다. 그는 파이프오르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꼼꼼하게 살펴본 뒤 이 악기가 소리를 내는 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파했다. 오늘날에도 파이프오르간의 원리를 이보다 더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 악기 제도는 바람을 빌려 소리를 나게 하는데, 바람을 빌리는 법은 풀무와 한가지다. … 바깥 바람을 틀 안에 가득히 넣은 뒤 자루를 놓아 바람을 밀면 들어오던 구멍이 절로 막히고 통 밑을 향하여 맹렬히 밀어댄다. 통 밑에 비록 각각 구멍이 있으나 또한 조그만 더데를 만들어 단단히 막은 까닭에 말뚝을 누르면 틀 안에 고동을 당겨 구멍이 열린 뒤 바람이 통하여 소리를 이룬다. 소리의 청탁고저는 각각 통의 대소장단을 따라 음률을 다르게 하는 것이다.’

●소현세자도 봤을 수도… 기록 남긴 담헌에 공로

남천주교당은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머물던 곳이다. 병자호란 이후 베이징에 볼모로 잡혀 있던 소현세자는 이곳으로 마테오 리치를 자주 방문했다. 소현세자 역시 파이프오르간을 보았을 가능성은 높다.

담헌의 방문에도 역관 홍명복과 관상감의 이덕성이 동행했다. 그럼에도 파이프오르간을 처음 접한 공로는 담헌이 독차지하고 있다. 기록을 남기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

글 사진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2-26 15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