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청산 바람 확산 안됐으면” 서청원·최경환, 탈당 요구 반발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인 이정현 전 대표가 2일 탈당했다. ‘최순실 게이트’와 이에 따른 분당 사태에 대한 ‘친박 책임론’을 안고 가겠다는 취지다.이 전 대표는 이날 “저는 오늘 당을 떠난다. 모든 책임을 안고 탈당한다. 직전 당 대표로서 후임 당 대표에게 백척간두 상태로 당을 물려주는 것도 죄스러운데 제가 걸림돌이 된다면 그것은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저를 디딤돌로 삼아 지금부터는 당이 화합하고 화평하길 기원한다”고 밝히며 탈당계를 제출했다. 이 전 대표는 “저의 탈당을 끝으로 ‘친박 청산’ 바람이 확산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탈당은 다른 친박계 의원들과 상의된 결정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서청원·최경환 등 친박계 핵심 의원들은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의 탈당 요구에 극렬하게 반발했다. 서 의원은 의원들에게 전달한 친전에서 “당이 사분오열된 상황에서 분열과 배제를 통해 진정한 개혁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인지 인 위원장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국민이 바라는 정치혁신의 전제는 또 다른 독선과 독주가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인 위원장은 더 늦기 전에 당을 살리는 데 앞장서 달라”고 촉구했다.
서 의원은 또 개혁보수신당(가칭)을 향해 “하루아침에 친정에 침을 뱉고 신당을 만들겠다며 떠난 것은 대선을 앞둔 가증스러운 이력 세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맹비난했다.
한편 야당은 이 전 대표의 탈당을 “탈당쇼”라고 평가절하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 전 대표의) 단식 때와 비견될 정도의 돌출 행동”이라면서 “집단 탈당을 막으려고 혼자 나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7-01-0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