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 영남도 압승… 수도권서 본선행 가나

文, 영남도 압승… 수도권서 본선행 가나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7-03-31 22:32
업데이트 2017-03-31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당 영남 경선 64.7%로 3연승

합계 59%… 2위 安과 20만표 이상 격차
文 “수도권 비중 매우 커 안심 할 수 없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호남·충청에 이어 영남 표심을 싹쓸이하며 대세론에 또 한번 쐐기를 박았다. 31일 부산 사직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민주당 영남권 대선 후보 선출대회에서 64.7%의 압도적 득표율로 3연승을 달렸다.
이미지 확대
문 전 대표는 선출대회에 앞서 시행된 현장투표와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 이날 대의원 투표를 합친 총유효투표수 19만 8586표 중 12만 8429표를 얻어 2위 이재명 성남시장(3만 6780표·18.5%)과 3위 안희정 충남지사(3만 2974만표·16.6%)와의 차이를 크게 벌렸다. 호남·충청·영남권을 합친 누계에서도 문 전 대표는 59.0%(33만 1417표)로 안 지사(22.6%·12만 6745표)와 이 시장(18.2%·10만 2028표)과의 격차를 20만표 이상으로 키웠다.

문 전 대표의 정치적 고향인 영남에서의 승리는 예견된 일이었다. 부산·경남은 이 지역 자체가 문 전 대표의 대선 캠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문 전 대표의 조직력이 강했다. 부산의 명망가 오거돈 전 동명대 총장이 문재인 캠프 부산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아 선거를 이끌었고, 최근에는 경남지사를 지낸 김두관 의원이 캠프 선대위원장으로 합류했다.

애초 안 지사와 이 시장은 문 전 대표가 ‘홈그라운드’ 영남에서 압승하는 것만은 막아 결선투표의 불씨를 살린다는 현실적인 전략을 세웠다. 구 여권의 세가 강한 대구·경북(TK) 중도층이 안 지사의 손을 잡아 주고, 급진적 성향의 울산 노동자 선거인단이 이 시장에게 힘을 실어 준다면 ‘버티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향이 경북 안동인 이 시장은 대구·경북 표심에도 기대를 걸었다. 그러나 친문 세력의 본진 격인 부산·경남의 벽을 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득표율 70%의 압승을 기대한 문 전 대표 측은 좀 아쉽다는 반응이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솔직히 더 나올 줄 알았다”면서 “이 시장이 대구·경북에서 많은 표를 가져갔다”고 말했다.

전체 선거인단은 214만여명으로, 현재 민주당 경선 투표율 72.2%를 단순 적용하면 다음달 3일 수도권·강원·제주 선출대회까지 모두 154만여명이 투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77만표 이상 확보한 후보가 나오면 결선투표 없이 수도권 선출대회에서 후보를 확정할 수 있다. 수도권 선거인단 136만명 중 현재 투표율대로 72.2%인 98만여명이 투표한다고 가정하면 세 차례 경선에서 33만표를 얻은 문 전 대표는 수도권에서 45%만 득표해도 본선으로 직행할 수 있다.

다만 수도권 표심은 예측이 어려운 데다 선거인단 비중이 60%를 웃돌아 결과를 예단하긴 어렵다. 문 전 대표는 “수도권 비중이 워낙 커 안심할 수는 없다”면서 “결선투표까지 가지 않고 끝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에서는 이 시장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이 시장은 “나름 선전했다고 보고, 저의 본거지라고 할 수 있는 수도권에서 문 전 대표의 과반을 저지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과 비슷한 수준의 득표를 예상했던 안 지사는 아쉽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그는 “수도권에 60% 이상의 유권자가 기다리고 있고, 오늘 한 여론조사가 말해 주듯 문 후보는 불안한 대세”라며 “결선에서 역전 드라마를 써 보겠다”고 밝혔다.

부산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부산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7-04-01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