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대학생 44% 휴학·28% 제적… 한국사회 부적응 왜

새터민 대학생 44% 휴학·28% 제적… 한국사회 부적응 왜

입력 2011-09-06 00:00
업데이트 2011-09-06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어강의 헤매苦 학교생활 겉돌苦

북한을 이탈한 새터민 A씨는 최근 대학을 졸업한 뒤 취업을 준비하고 있지만 영어 때문에 고민이 많다. 중학교 때 겨우 알파벳 정도만 익힌 뒤 탈북한 탓에 취업을 위해 영어를 공부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A씨는 “대학 입학 전에 취업이나 진로교육을 받았다면 뒤늦게 고생하지 않았을 텐데….”라며 처지를 한탄했다.

새터민 B씨는 개방적인 대학 생활에 적응하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제를 하기 위한 조모임이나 프레젠테이션 등에서 주눅이 들기 일쑤였다. B씨는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게 특히 어려웠다.”고 털어놨다. C씨는 가정 형편 때문에 제대로 학교 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다. C씨는 “어머니가 편찮으셔서 호프집 아르바이트 등을 해도 생활비가 빠듯하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학업을 따라가기가 정말 어렵다.”고 말했다.

새터민 대학생 수는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절반가량은 대학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1100여명에 달하는 새터민 대학생들에게는 치열한 대학 생활 자체가 또 다른 시련이다.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한 캠퍼스의 분위기도 낯설 뿐이다. 생소한 학과, 높은 난이도의 교과도 장벽이다. 적응 교육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지원 체제가 여전히 미흡한 것이다. 반면 대학마다 새터민 학생들을 지원하는 등록금 및 장학금 등 하드웨어는 비교적 잘 갖춰져 있다.

한국청년정책연구원 고강섭 연구원은 최근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새터민 대학생 16명을 심층 인터뷰해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경희대 대학원 사회학과)라는 석사학위 논문을 썼다. 한국 사회에서 특히 학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고 지원을 받아 대학에 다니는 새터민 대학생은 모두 1132명이다.

그러나 28.4%(2008년 기준)는 중도에 학업을 포기했다. 적응에 어려움을 겪어 휴학을 한 학생도 전체의 43.6%에 이르렀다. 새터민 대학생의 휴학은 2명 중 1명꼴이다. 일반 대학생들의 학업 포기율이 4.5%, 군입대나 경제적 사정 또는 학업 부적응 등으로 휴학하는 학생 비율이 31.6%인 데 비하면 크게 높다.

대학생들의 음주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국어나 중문학을 택하는 전공 획일성도 문제로 떠올랐다. 실제 인터뷰에 응한 16명 가운데 6명이 중국 관련 학과를 선택했다.

고 연구원은 “대학 생활의 부적응은 곧 한국 사회의 부적응을 의미한다.”면서 “남한 대학생과 1대1 멘토 시스템 같은 제도를 마련해 이들이 무리 없이 대학 생활에 적응하도록 돕거나 학업 적응을 위해 영어와 논리적 글쓰기 등의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수정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등록금과 입학 지원 시스템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는데도 휴학률이 높다면 이들의 적응 과정에 무언가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며 “그들이 정체성을 찾고 무리 없이 우리 사회에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1-09-06 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