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빙이 싫다고?… 성우가 말하는 ‘더빙이 필요한 이유’

더빙이 싫다고?… 성우가 말하는 ‘더빙이 필요한 이유’

이승아 기자
입력 2018-05-30 14:04
업데이트 2018-05-30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왼쪽부터) 성우 전해리, 정재헌
(왼쪽부터) 성우 전해리, 정재헌
“방금 뭐였어? 화면 보느라 자막 못봤어”

요즘 더빙으로 제작된 영화나 외화 애니메이션은 보기 드물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에서든 미국 드라마에서든 우리는 늘 자막으로 보는 것이 익숙하다. 그리고 더빙된 작품에선 이질감을 느낀다.

더빙은 외화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시작한 시점부터 우리와 함께했다. 성우들의 특유의 말투와 연기력은 더빙만의 맛이다. 하지만 미디어를 접하기 쉬워지면서 더빙의 역할은 줄었다. 점차 그들의 목소리는 촌스럽고,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여기는 사람도 늘었다. 주 무대가 사라진 성우들은 생존권을 부여잡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우리 곁을 맴돌았다. 내비게이션, 학교 시험 안내 음성, 게임 등을 가리지 않았다. 어디서 많이 들어 본 좋은 목소리로 남았다.
최근엔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 ‘자막판’을 거부하고 ‘더빙판’을 찾는 마니아들이 늘었다. 덕후들이 생겨났다. 그저 ‘목소리만 좋은 사람’만이 아닌 ‘목소리로만 세상을 전하는’ 특별한 연기자들의 두 번째 황금기가 다가오고 있다.

2016년 개봉된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에서 더빙을 맡은 성우들은 입을 모아 얘기했다.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것이 성우만의 매력이다.” 우리들 삶 속에 은근하고 깊숙하게 침투해있는 성우 전해리와 정재헌을 만나봤다.

글 곽재순 ssoon@seoul.co.kr
영상 이승아 sevng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