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는 2023학년도 대학 신입생 입학전형 시행계획에서 역사학부를 신설해 신입생을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
내년 역사학부 선발 정원은 28명이다. 올해 각 9명씩 모집한 3개 사학과 정원에서 1명이 더 늘었다. 전형별로는 수시모집으로 18명(지역균형 9명)을 뽑고 정시모집 일반전형에서 10명을 선발한다.
역사학부 신입생은 학부 3개 전공(국사학 전공, 동양사학 전공, 서양사학 전공) 중 하나를 주전공으로 선택해야 한다. 다만 대학원 과정은 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가 지금처럼 분리된 채 운영된다.
서울대학교 2023학년도 신입학생 입학전형 시행계획.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대학교 2023학년도 신입학생 입학전형 시행계획.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에 이공계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인문대도 생존을 위해 자체 경쟁력 강화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3개 사학 전공을 하나로 합친다는 소식은 지난달 서울대 총동창회 회보에도 실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동양사학과 87학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서울대 관계자는 “역사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종합적 사고를 겸비한 역사학 전문가 양성, 역사학 분야의 융합 교육 및 연구 체계 마련의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상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