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이후 중장기 실행 과제 포함
서울대 정문
18일 서울대가 최근 발간한 ‘중장기발전계획’ 보고서를 보면 “고등교육법 등 상위 규정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도입되기는 어렵더라도 장기적으로 3학기제로의 전환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나온다.
긴 겨울방학을 없애고 9~11월, 12~2월, 3~5월로 나눠 각 3개월 12주씩 진행되는 정규 학기와 6~8월의 여름방학으로 학사 일정을 재편하는 게 핵심이다.
9월 개학 학기제를 운영하는 대부분의 유럽·미주 대학과 학기제를 맞추면 교환학생을 가거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불필요한 시간 손실이 없다는 게 중장기발전계획위원회의 판단이다. 보다 길어진 여름방학을 활용해 폭넓은 현장 경험을 할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혔다.
위원회는 초중고 학기제 전반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학생 선발은 기존처럼 12~1월에 하고 9월 정규 학기 시작 전까지 6개월은 ‘기숙대학’(RC)을 이용해 신입생에게 다양한 기초 교육을 제공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계획대로라면 2025년 이후 중장기 실행 과제로 서울대에 9월 학기·3학기제가 도입된다.
위원회는 또 학제 개편이 장기적으로는 무(無)학과 입학과 학생 주도 자기 설계 전공을 확대해 전공·학과·단과대학 간 장벽을 허무는 학사제도 혁신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