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아줌마예요…” 정갈한 손글씨로 전한 마음에 공감 쏟아졌다

“청소 아줌마예요…” 정갈한 손글씨로 전한 마음에 공감 쏟아졌다

윤예림 기자
입력 2024-02-22 14:06
수정 2024-02-22 1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자신을 ‘청소하는 아줌마’라고 소개한 한 여성이 “어느 곳을 가든지 깨끗한 거 좋아하지 않냐. 이렇게 해 보라”며 손 글씨로 작성한 안내문이 화제다. 보배드림 캡처
자신을 ‘청소하는 아줌마’라고 소개한 한 여성이 “어느 곳을 가든지 깨끗한 거 좋아하지 않냐. 이렇게 해 보라”며 손 글씨로 작성한 안내문이 화제다. 보배드림 캡처
자신을 ‘청소하는 아줌마’라고 밝힌 한 시민이 쓰레기 무단투기가 끊이지 않자 써 붙인 안내문이 많은 공감을 받고 있다.

21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서는 자필로 작성된 ‘올바른 쓰레기 버리기’ 안내문이 관심을 모았다.

최근 해당 안내문을 목격했다는 A씨는 “늦은 아침을 해결하기 위해 근처 지하에 있는 한식뷔페에서 식사 후 계단실을 올라오는데 글이 보였다”며 사진을 게재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안내문은 때가 묻어 거뭇했지만, 정갈한 손 글씨로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내문에서 자신을 ‘청소하는 아줌마’라고 소개한 여성은 “어느 곳을 가든지 깨끗한 걸 좋아하시지요. 이렇게 해보세요”라며 공손한 말투로 쓰레기 무단투기에 대해 언급했다.

여성은 “손에 있는 휴지, 담배꽁초, 다 먹고 난 음료수병, 커피 종이컵 등을 계단에 버리지 마시고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뒀다가 휴지통에 넣어보세요”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하시면 기쁨과 즐거운 마음이 함께 생겨요”라고 전했다.

또 “매일매일 기분 좋은 하루 되세요”라며 따뜻한 맺음말도 잊지 않았다.

안내문을 공유한 A씨는 “청소하는 아주머니가 이 글을 쓰기까지 생각 없이 쓰레기를 버린 많은 사례가 있었을 것이라고 미뤄 짐작된다”며 “본업이 청소하시는 일이지만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은 기본적으로 공중도덕을 지키는 게 선진시민의식 아닐까. 요즘에 하도 기본적인 공중도덕과 상식이 없는 꼴을 많이 보다 보니 기본적인 것만 지켜도 참 좋아지겠다고 생각해본다”고 말했다.

사연을 접한 사람들은 “필체부터 깨끗하고 멋진 분일 것 같다”,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 “배려가 넘쳐나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시민으로서 기본적인 행위인데 요즘은 지켜지질 않으니 안타깝다”, “아무리 작은 거라 한들 쓰레기 함부로 버리는 것은 이기적인 거다”, “기본을 지키지 않는 사람이 많다” 등 안내문에 공감하는 이도 많았다.

다만 “쓰레기통은 어디에 있냐”는 댓글도 있었다. 실제 서울시의 경우 지난 19년간 길거리 쓰레기통 감소 정책을 이어온 바 있다. 시민들이 가정이나 가게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길거리 쓰레기통과 근처에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자 쓰레기통을 없애기 시작했다.

그러나 길거리에 쓰레기통이 부족해 무단투기 사례가 다수 발생하는 등 불만이 계속되자 정책을 바꾸기로 했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가 2021년 서울시민 31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3.3%가 ‘쓰레기통이 적은 편’이라고 답한 반면 ‘적정하다’와 ‘많은 편’이라는 응답은 각각 25.2%, 1.5%에 그쳤다.

서울시는 2024년 6500개, 2025년 7500개 등 단계적으로 길거리 쓰레기통을 늘리기로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