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위한 봉사활동 ‘공동체 의식’ 도움 안된다

성적 위한 봉사활동 ‘공동체 의식’ 도움 안된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6-02 23:48
업데이트 2015-06-03 0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년간 ‘中2 2280명 추적조사’ 결과

서울 양천구 M중학교 2학년 이모(14)양은 봉사활동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이양이 지원하고 싶어 하는 외국어고나 자율형사립고의 경우 학년별 10시간 이상의 학내 봉사와 5시간 이상의 외부 봉사를 요구하고 있다. 이양으로서는 외부 봉사시간을 채우는 것이 아주 고역이다.

이미지 확대
이양은 전봇대나 건물 벽에 붙어 있는 ‘주택 급매’, ‘눈물의 부도, 땡처리’ 등의 불법 전단 30장을 떼어 주민센터에 제출해 봉사활동 1시간 인정 확인서를 받는다.

또 지하철역에서 ‘에스컬레이터를 두 줄로 서서 이용합시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기도 한다. 이양은 “보람도 느낄 수 없고, 나 자신도 만족할 수 없는 봉사활동을 계속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양의 어머니는 “억지로라도 봉사를 하면 깨닫는 게 있을 것”이라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이양과 어머니의 말 중 어느 쪽이 사실일까.

●“외부 봉사 5시간은 기본… 보람도 없어요”

2일 발표된 김성훈 이화여대 사회교육과 교수의 연구 결과를 보면 이양의 손을 들어주는 게 맞는 것 같다. 김 교수는 2011년 중학교 2학년이던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280명을 3년 동안 추적 조사해 ‘청소년의 봉사활동과 공동체 의식’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억지로 한 봉사활동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을 오히려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주위의 어려운 친구를 도울 의사 ▲공휴일 복지기관 자원봉사 활동 의사 ▲빈곤국을 위한 기부 의사 ▲환경 보호 활동 참여 의사 등 4가지를 공동체 의식 측정 항목으로 설정하고 청소년의 봉사활동의 경험, 시간, 만족도, 동기 등 네 가지 변수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자발적으로 도울 경우 공동체 의식 0.070점↑

청소년의 봉사활동 경험은 공동체 의식을 다소나마 향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의 공동체 의식 점수(최저 1, 최고 4점)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평균 0.047점 높았다. 하지만 봉사활동의 형식적 측면인 봉사활동 시간은 공동체 의식 향상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했다.

●강제로 시키면 평균점보다도 0.009점 낮아져

반면 질적 측면인 봉사활동의 만족도와 동기는 공동체 의식의 변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 만족도(최저 1, 최고 4점)가 1점씩 높아지면 공동체 의식 점수도 0.065점씩 높아졌다. 남을 돕겠다는 순수한 동기로 봉사활동을 한 청소년은 평균에 비해 0.070점 높은 공동체 의식 점수를 보였다.

반면 성적 때문에 억지로 봉사활동을 한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 점수는 순수 이타적 동기의 청소년보다 0.079점, 평균보다도 0.009점이 낮았다. 이는 억지로 하는 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성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김 교수는 “봉사활동 원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만족도를 높이고, 이타적 동기를 강화하며, 성적을 얻으려는 동기를 약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6-03 1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