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나노세계’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살아있는 나노세계’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입력 2014-10-09 00:00
업데이트 2014-10-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에릭 베치그(54) 미국 하워드휴즈 의학연구소 박사, 슈테판 W. 헬(52)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화학연구소 박사, 윌리엄 E. 머너(61)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등 3명은 현미경으로 살아있는 생명체를 ‘나노(㎚=10억분의 1m) 차원’까지 관찰할 수 있게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전자 현미경은 나노 차원의 작은 물질을 볼 수 있으나 고온의 빛을 비추기 때문에 살아있는 생명체를 관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광학 현미경은 실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신 빛 파장의 절반보다 더 작은 물체는 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번 수상자들은 형광 분자를 이용, 이러한 한계들을 재치있게 해결해 살아있는 생명체를 분자 차원까지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초고해상도 형광 현미경을 개발했다.

과학자들은 ‘나노 차원을 관찰한다’는 뜻의 ‘나노스코피’에 크게 기여한 이들의 발명 덕분에 살아있는 세포 속 미세 구조를 볼 수 있게 됐다.

뇌 신경세포 간 연결부위인 시냅스의 형성 과정, 파킨슨병·알츠하이머·헌팅턴병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응집하는 과정, 수정란이 배아로 나뉘는 과정 등도 살펴볼 수 있게 됐다.

이들의 발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헬 교수는 2000년 형광 분자로 하여금 빛을 내게 자극하는 ‘레이저 1’과, ‘레이저 1’이 밝힌 형광 분자 중 나노미터 사이즈만 제외하고 형광 빛을 없애는 도넛 모양의 ‘레이저 2’로 구성된 유도방출억제(STED) 현미경을 개발했다.

다음으로, 베치그 교수와 머너 교수는 개별 연구를 통해 단분자 현미경(single-molecule microscopy) 기술의 기반을 닦았다.

단분자 현미경은 여러 단일 분자들에 빛을 비추면서 반복적으로 여러 번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빛을 비추면 분자는 형광 물질을 발산하는데 모든 분자가 한꺼번에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분자는 처음 비췄을 때, 다른 분자는 그다음에 비췄을 때 형광을 띤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촬영한 뒤 이미지를 합치면 형광 빛을 내는 분자들이 여러 개 모여 있어 더 밝은 이미지가 탄생, 훨씬 작은 영역에 있는 분자들을 볼 수 있다.

머너 교수는 이 외에도 단일 분자의 신호를 감지하는 혁신적인 분광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성재영 중앙대 화학과 교수는 “살아있는 세포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는 발명”이라며 “예를 들어 예전에는 살아있는 미토콘드리아(세포 내 소기관)가 ‘타원형으로 생겼다’까지만 볼 수 있었는데 이 기술들을 통해 살아있는 미토콘드리아의 안이 어떻게 생겼나 까지도 볼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빛의 반응에 따라 단분자 단위에서 일어나는 오토프로세스를 연구해 ‘분자의 화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이 분야는 전통적으로 화학에서 담당해왔다”며 “이들은 오래전부터 노벨상 수상 후보자로 거론됐고 마침내 결실을 얻은 것”이라고 얘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