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금융 최대 리스크는 코로나 장기화”

전문가들 “금융 최대 리스크는 코로나 장기화”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2-14 17:58
업데이트 2020-12-15 0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조사서 10명 중 7명 위협으로 꼽아
바이든 정책 불확실성·고용악화 뒤이어

이미지 확대
국내외 경제·금융 전문가 10명 중 7명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가장 큰 위협으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장기화’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의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기관·협회·연구소 담당자 82명 중 70%(57명·복수 응답)가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가능성을 최대 금융 리스크 요인으로 들었다. 미국 대선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방향 불확실성(50%), 기업실적 부진과 신용위험 증대(38%), 고용 악화 등에 따른 가계소득 감소(38%)가 뒤를 이었다. 한은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 가능성, 고용 악화와 가계소득 감소 등을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0~25일 이뤄졌다. 금융시스템 리스크는 금융 기능이 마비되면서 실물 경제까지 심각한 타격을 받는 상황을 의미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는 지난 6월 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80%가 주요 리스크로 지목했다. 미 행정부의 정책 방향 불확실성, 고용 악화 등에 따른 가계소득 감소 등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부상했다.

금융시스템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상반기보다 낮게 전망됐다. ‘1년 내(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38%에서 20%로 줄었고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29%에서 45%로 늘었다. ‘중기(1~3년) 충격 발생 가능성도 높다’고 응답한 비중이 31%에서 18%로 감소했고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18%에서 23%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가장 유의해야 할 위험 요인으로는 ‘기업 부문(중소기업·자영업자 포함) 실적 부진과 신용위험’(52%) 비중이 가장 컸다.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바뀐 환경에서 금융기관이 직면한 어려움으로는 건전성 저하와 비대면 중심의 영업환경 변화 등이 거론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12-15 2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