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영화에 빚진 진실/박록삼 문화부 기자

[지금&여기] 영화에 빚진 진실/박록삼 문화부 기자

입력 2014-10-25 00:00
업데이트 2014-10-25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논설위원
기자의 한 사람으로서 부끄럽고 참담합니다만, 한국사회의 진실은 주로 영화 속에 담겨 있는 듯합니다.

논란 속에 지난 23일 개봉한 다큐영화 ‘다이빙벨’은 4·16세월호 참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다이빙벨로 상징되는, 세월호와 함께 바닷속 깊은 곳에 가라앉아 있는 진실의 한 조각을 힘겹게 끌어올렸습니다. 사고 당시 구조 방해세력이 존재했다는 의혹을 생생한 현장의 화면으로 증언합니다.

이는 여전히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복잡하고도 거대한 진실의 지엽적인 한 부분일 뿐입니다. 304명의 목숨이 물밑으로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하던 그 시간 국민의 생명을 책임져야 하는 국가와 최고책임자는 무엇을 어떻게 대처했는지, 세월호를 둘러싼 권력과의 유착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정보기관의 세월호 실소유주 논란은 사실인지 등 관련된 의혹은 참으로 많습니다. 진실의 시작과 끝을 다 내보이지 않았다며 제도 언론과 정치권력이 ‘다이빙벨’ 자체를 부정해버리는 것은 그들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부정하는 일이나 다름없습니다.

한창 개봉 중인 또 다른 영화 임순례 감독의 ‘제보자’는 공익제보를 받아들인 한 방송사의 PD가 획일적으로 몰아가는 사회적 광기에 맞서 싸운 용기에 대한 헌정 영화이기도 합니다. 지난해 만들어진 다큐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역시 사회가 폭력적으로 강요하는 사실 아래 꽁꽁 묻혀진 진실을 알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었습니다. ‘종북몰이’라는 광기가 휘몰아치는 상황에서 강요된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곧바로 마녀사냥 대상으로 직결되는 것이었습니다. 누군들 자신 있게 합리적인 의심조차 지속하지 못했습니다. 객관과 중립의 가면 뒤에 숨은 대부분 언론은 정부 발표를 받아쓰기에만 바빴습니다. 4·16세월호 참사 때처럼 말입니다. ‘천안함 프로젝트’는 상영금지가처분신청을 딛고서야 겨우 상영될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한국사회, 더욱 엄밀히 말하면 한국사회 제도 언론은 영화에 빚을 지고 있습니다.

영화는 우리가 향유하는 여러 문화예술 부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산업자본과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출발한 장르입니다. 태생적으로 상업예술 형태를 띨 수밖에 없는 존재론적 함의를 설명해 주지요. 비록 영화를 통해 진실의 일단을 접했지만, 이제는 언론이 한국사회의 심각한 과제를 걸머지고 있는 영화의 짐을 좀 덜어줘야겠습니다. ‘다이빙벨’도, ‘제보자’도 모두 더없이 소중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냥 웃기고, 신나고, 아름답기만 해도 충분하지 않나요?



youngtan@seoul.co.kr
2014-10-25 23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