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김정일 사망 보도와 신문의 출구/조항제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김정일 사망 보도와 신문의 출구/조항제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11-12-21 00:00
업데이트 2011-12-2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항제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조항제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연말에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이라는 메가톤급 사건이 터짐으로써 올해 또한 역사에 남기에 부족함이 없는 한 해가 될 것 같다. 이 뉴스가 아니었다면 아마도 올해 최대 사건은 서울시장 선거가 아니었을까 한다. 시민운동의 인물이 (정당 경선은 거쳤지만) 무소속으로 대표적 지자체장이 된 이 선거야말로 미래의 정치상을 보여주는 시금석이기 때문이다. 이 선거는 특히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를 비롯한 뉴미디어의 정치적 잠재력을 유감없이 드러내 미디어학자는 말할 것도 없고, 신문을 비롯한 여러 경쟁매체에도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이제 인쇄와 배달로 이루어진 신문의 설 땅은 더 좁아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지난 매체 역사는 아무리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더라도 기존 매체가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는다고 가르친다. 신문에 대해 책이나 잡지가 그러했고, 텔레비전에 대해 라디오와 영화가 또한 그러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기존의 구도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성세는 줄어드는 게 불가피하지만, 공존을 위한 나름의 ‘출구’는 충분히 찾는다는 뜻이다.

이번 사망 사건에서도 이런 신문의 출구 중 하나인 심층성은 잘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서울신문을 비롯한 우리 신문이 ‘정말 최선을 다했나’라는 의문에 대해서는 유보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 적지 않다. 과거 철의 장막으로 불렸던 소련에 대해 정부에 못지않은 정보통을 가졌던 미국의 유수 언론(또는 전문기자)을 떠올릴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미 텔레비전을 통해 대부분의 내용을 아는 독자들은 대체로 다음처럼 신문에 접근한다. 먼저 이들은 헤드라인을 통해 사실관계를 재확인한다. 그리고 사망의 경위는 대부분 중요하지 않게 여기거나 알고 있으므로 뛰어넘는다(그러나 신문은 이를 생략할 수 없다. 신문을 최초 정보원으로 보는 독자도 있기 때문이다). 김정일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도 그렇게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이 가진 의문으로 들어간다.

물론 가장 궁극적인 의문은 ‘한반도가 어떻게 될까, 우리가 어떤 영향을 받을까’이다. 그러나 이 의문을 풀려면, 포스트 김정일 체제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먼저 봐야 한다. 또 이와 연관된 것으로 사망의 원인이나 정황이 정말 발표대로인지, 특기할 만한 사항은 없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필자는 특히 방송사별로 보도가 엇갈렸던 부검의 성격이 궁금했다. 그것이 정말 관례인지, 아니면 다른 배경이 있는지 말이다. 이틀이나 지난 후 발표한 이유도 짚어보고 싶다. 독자들도 짐작은 간다. 그러나 ‘전문’ 언론이라면 다른 것이 있지 않을까 궁금하다. 정부가 몰랐는지도 의심스럽다. 만약 그랬다면 정말 문책을 받아야 할 일이 아니겠는가? 다른 가십성 화제나 다소 빤할 것 같은 우리 측과 주변국의 대응은 이런 의문이 풀린 다음에 돌아보게 된다.

신문 측의 입장 또한 크게 다를 바는 없을 것이다. 다만, 조심해야 할 것이 덧붙여진다. 억측이나 과장을 통해 흔히 ‘북풍’으로 불리는 잘못된 효과를 불러일으키지 않아야 하는 점이다. 특집의 압도 속에서 자칫 잊힐 수 있는 국내의 어젠다도 챙겨봐야 한다. 김 위원장 보도의 단골인 ‘여인들’은 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물론 텔레비전이 제공할 수 없는 심층 정보는 당연히 들어가야 한다.

이런 점에서 서울신문의 편집은 아쉬운 측면이 많다. ‘갑작스러운 사망’, ‘믿을 만한 사인’, ‘후계구도의 불확실성’, ‘차분함 속의 긴장’ 등의 전체적 메시지 구도는 설득력이 있으나 이렇다 하게 내세울 새로운 정보가 없다. 피해야 할 냉전의 잔재도 군데군데 보인다. 다행히 한 면(5면)을 할애한 정부 비판이나, 이번 건이 아니었다면 1면에 올랐을 법한 국내의 이슈 보도(16면)는 지킬 것을 지키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북한 보도는 이제 시작이고, 우리 측 ‘비상’도 시작이다. 점입가경이 될 내년의 남북한 정치에서 신문이 어떻게 자신의 출구를 찾을지 독자들은 지켜본다.

2011-12-21 3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