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산가족 상봉, 남북 관계 개선의 출발점 돼야

[사설] 이산가족 상봉, 남북 관계 개선의 출발점 돼야

입력 2015-09-09 00:00
업데이트 2015-09-09 0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은 다음달 20일부터 26일까지 금강산 면회소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하기로 합의했다. 지난해 2월 무산된 이산가족 상봉이 1년 8개월 만에 다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양측은 그제 적십사 실무접촉을 시작했지만 상봉 시기 등을 놓고 이견을 노출하면서 무박 2일의 마라톤 논의 끝에 합의에 이르렀다. 상봉 대상은 남북 각각 100명씩, 모두 200명 규모다. 우리 측은 노동당 창건일(10월 10일) 전후로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을 우려해 다음달 초 개최를 희망했지만 결국 북측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이번에 어렵사리 합의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8·25 합의’ 가운데 가장 먼저 실천해야 할 핵심 사안이자 남북 신뢰 구축의 첫 단추다. 이런 의미에서 이산가족 상봉의 구체적 사항까지 합의한 것은 양측 모두 남북 관계 개선의 의지를 보여 줬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더욱 ‘8·25 합의’ 이후 서로 자극하는 발언이 오갔고 특히 한·중 정상회담에서의 박근혜 대통령 발언 등을 놓고 얼굴을 붉히는 신경전이 오간 뒤라 많은 이산가족은 이번 상봉 재개 소식에 안도의 한숨을 쉬게 됐다.

그럼에도 아쉬운 점은 한둘이 아니다. 체제 특성상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부담스러운 것은 이해하지만 대상자가 200명 규모에 그친 것은 ‘전시성 행사’나 다름없다는 평가다. 가족과의 생이별로 끔찍한 고통을 겪고 있는 이산가족은 남측만 6만여명이다. 남은 이산가족 절반이 80세 고령이라 더는 지체할 시간이 없다. 이번 합의처럼 소규모 일회성의 상봉 행사로는 이들의 한을 풀어 주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이산가족들의 비원을 이루려면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가 절실한 이유다. 남북이 이번에 “인도주의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가자”고 합의한 만큼 앞으로 정례화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그동안 이산가족들의 요구로 이번 접촉에서 북측에 제시했던 이산가족들의 생사 확인이나 서신 교환, 고향 방문 등도 순차적으로 해결해야 할 숙원이다.

이번 합의가 다양한 민간 분야 교류와 전면적인 남북 관계 개선으로 이어지려면 무엇보다 북한의 군사적 도발이 없어야 한다. 당장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에 맞춰 북한 군부가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 남북 관계는 급속하게 얼어붙을 수밖에 없고 이산가족 상봉 행사 자체가 또다시 위기에 빠질 수 있다. 북한 지도부는 긴장을 고조시킬 군사적 행동을 자제하고 반드시 이번 합의를 이행해 이산가족들의 염원을 저버려서는 안 될 것이다.
2015-09-09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