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 달 사교육비 24만원이라는데 누가 믿겠나

[사설] 한 달 사교육비 24만원이라는데 누가 믿겠나

입력 2016-02-26 18:06
업데이트 2016-02-26 18: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우리나라 초·중·고생 한 사람이 한 달 평균 지출한 사교육비는 24만 4000원이었다. 3년 연속 늘어난 액수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전국 초·중·고 1244개 학교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한숨이 절로 나온다. 가계 사정은 나아질 것 없는데 사교육비 지출은 대책 없이 늘고만 있다는 얘기다.

교육부가 살뜰히 의미를 부여해서 설명한 통계치는 더 있다. ‘사교육 관련 물가지수’를 반영하면 지난해 실질적 사교육비는 20만 4000원으로 전년보다 3000원(1.5%) 줄었다는 것이다. 사교육 물가 상승률을 적용한다면 학부모들 부담이 좀 줄어들었으니 걱정 말라는 뜻인지, 사교육 억제 정책을 잘 구사하고 있다는 자화자찬인지 알 수 없다. 어느 쪽이든 현실과는 크게 동떨어진 인식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답답하기는 매한가지다.

해마다 때가 되면 나오는 정부의 사교육비 통계는 학부모들을 분통 터지게 한다. 도대체 누구를 붙들고 어떻게 조사를 하면 24만원이라는 터무니없는 평균액이 나오는지부터 궁금하다. “그 돈으로 해결된다면 만세를 부르겠다”는 원성이 드높다. 교육부는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까지 포함한 평균값이라고 해명한다. 그런 궁색한 변명이 덧붙는 물타기 꼼수 통계라도 제발 그만 보고 싶은 것이 학부모들 심정이다. 진심으로 사교육 대책 의지가 있다면 정부는 현실부터 제대로 봐야 한다. 과외 필수 과목이 된 영어, 수학 중 한 과목만 해도 한 달 학원비가 20만~30만원이 보통이다. 한국소비자원의 지난해 조사에서는 초등생조차 일인당 사교육비가 월평균 37만원이었다.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초등학생 영어 사교육비가 줄었다는 사실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8년부터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로 전환한 결과인지 살펴서 정책을 보완하고 효율을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영어 시험 변별력이 떨어진 탓에 다른 주요 과목의 사교육 시장이 몸집을 불리지 않았는지도 반드시 함께 점검해야 한다.

사교육 열풍을 망국병이라고 걱정하는 목소리는 갈수록 높다. 공교육 내실화로 한시바삐 교육의 질을 끌어올리는 일은 엄연한 교육행정의 몫이다. 사교육의 근본 원인은 뿌리 깊은 학벌주의다. 당국이 백방으로 대책을 내놓은들 번번이 학벌 효과를 부추겨 배를 불리는 것이 사교육 시장이다. 사회 통념과 학부모들의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학력 지상주의에 빠져 스스로 주머니를 내주는 부모들의 책임도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2016-02-27 23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