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비빔법과 제삿밥/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비빔법과 제삿밥/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10-23 00:00
업데이트 2014-10-23 05: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빔밥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건 제삿밥만 한 게 없다. 맵고 달콤한 고추장에 길든 요즘 입맛에 의외라고 하겠지만, 그 일미(逸味)에 취하면 제삿밥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제사나 차례를 지낸 뒤 여러 나물 찬(饌)을 젯메에 넣고 비벼서 먹는다. 비빔밥 유래를 제삿밥에서 찾는 이도 많다. 요즘 상품화한 헛제삿밥이다. 이 주장이 맞는다면 애초 비빔밥에 고추장은 들어가지 않았다.

 비빔밥이 처음 언급된 건 1800년대 말의 ‘시의전서’로, 부븸밥 또는 골동반(汨潼飯)으로 기록했다. 골(汨)은 어지럽다는 뜻이고, 동(潼)은 한데 섞는다는 의미다. 문헌의 기록이 대체로 늦다는 점에서 훨씬 이전부터 먹었을 것으로 보인다. 유래에 대한 설도 많다. 임금의 점심용이란 ‘궁중설’, 피신하는 임금 수라상 음식이 마땅찮아 비벼서 올렸다는 ‘몽진설’, 농번기 때 손을 덜기 위해 큰 그릇에 먹었다는 ‘농번기설’, 묵은해를 보내는 섣달 그믐날 남은 음식을 없애려고 먹었다는 ‘묵은 음식 처리설’ 등이 그것이다. 그럴듯하지만 어느 것 하나 단정하기는 어렵다.

비빔밥은 장유(長幼)와 남녀를 엄격히 구별했던 우리 밥상문화의 또 다른 일면을 볼 수 있다. 큰 놋그릇에 담긴 비빔밥을 함께 먹어 가족 의식이 엿보인다. ‘비빔밥을 먹을 때 촌수가 나온다’는 속담은 동질감의 표현이다. ‘며느리에겐 비빔밥 그릇을 씻기고, 딸에겐 흰죽 사발을 씻긴다’는 속담도 설거지에 손이 많이 간다는 뜻에서 나왔다. 밥을 지을 때 반찬 재료를 먼저 넣지만, 한두 가지씩 차례로 먹는 중국·일본과는 다소 다른 음식문화다.

 비빔밥은 지역에 따라 특성을 달리한다. 크게 전라의 전주와 경상의 진주로 나뉜다. 유래도 전주에서는 궁중의 점심 요리에, 진주에선 제사 때의 음복(飮福)에 무게를 둔다. 또한 전주는 콩나물국을 곁들이고 소를 많이 기르던 진주는 육회를 얹고 선짓국이 따른다. 두 곳 모두 사골 육수로 밥을 짓는 것이 특징이다. ‘소리의 고장’인 전주에서는 ‘전주 4불여(四不如)’ 가운데 ‘소리가 음식만 못하다’(聲不如食)고 해 비빔밥을 으뜸으로 여겼다. 전주 남부시장의 ‘뱅뱅돌이 비빔밥’이 유명했지만 아쉽게도 옛 분위기의 비빔밥집이 대부분 사라졌고, 진주에서만 시장통의 허름한 두어 집이 전국 유명세를 잇고 있다.

 전주 비빔밥축제가 오늘 시작됐다. 며칠 전에는 가락국 김수로왕의 인도 왕비가 즐겨 먹었다는 ‘가야궁 비빔밥’도 경남 김해에서 첫선을 보였다. 메뉴에는 인도의 전통음식인 카레를 넣었다고 한다. 오감을 자극하는 섞음의 전통음식이 더 나와야 하겠다. 퓨전 음식이라고 하면 어떤가. 비빔의 마술인 것을.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0-23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