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사병균은 모든 현대 병균의 조상

흑사병균은 모든 현대 병균의 조상

입력 2011-10-13 00:00
업데이트 2011-10-13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 역사상 가장 참혹했던 전염병 가운데 하나인 흑사병의 병원균 게놈 지도가 처음으로 완전히 해독됐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BBC뉴스가 12일 보도했다.

독일과 캐나다 등 국제 연구진은 런던의 ‘페스트 공동묘지’에서 발견된 중세인의 치아에서 채취한 세균의 DNA를 분석한 결과 이것이 무해한 세균의 새로운 변종인 동시에 모든 현대 전염병균의 조상으로 드러났다고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14세기 유럽을 휩쓸어 절정기인 1347~1351년 사이에 5천만명을 죽음으로 내몬 흑사병은 인류가 처음 겪은 흑사병 창궐 사례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진은 벼룩을 통해 유례없는 재앙을 가져온 흑사병 병원균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의 유전자 암호를 해독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병원균의 공동조상과 매우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는 오늘날 존재하는 모든 병균의 할머니”라고 지적했다.

이전까지 학자들은 흑사병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염병일 것으로 추측해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 예르시니아 페스티스의 기원은 12~13세기로 드러났다. 따라서 6세기에 비잔틴 제국을 휩쓸면서 1억명의 목숨을 앗아간 유스티아누스 역병은 중세 흑사병과 같은 병원균으로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유스티아누스 역병은 지금은 완전히 멸종한 페스트균 변종에 의해 일어나 병원균의 후손이 남아있지 않거나 아직 전혀 알려지지 않은 다른 병원균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세 흑사병 병원균은 아직도 후손이 남아 있어 연간 2천명이 이로 인해 죽지만 14세기에 비하면 위험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연구진은 “흑사병 창궐 후 660년이 지났어도 병원균의 게놈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고 밝히고 그러나 이처럼 미미한 변화라도 병원균의 치명성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중세 흑사병이 그토록 맹위를 떨친 것은 병원균 자체의 맹독성, 흑사병균과 함께 유행한 다른 병원균, 한랭화로 접어든 기후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