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불화보다 귀한 ‘나전경함’

고려 불화보다 귀한 ‘나전경함’

입력 2014-10-14 00:00
업데이트 2014-10-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전’ 새달까지 신소장품 특별 공개

경함(經函)이란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함을 이른다. 고려 나전칠기로 만든 경함은 통상 뚜껑 윗부분 각 모서리를 모죽임한 장방형의 형태로, 자개와 금속선을 함께 사용한다. 이 중 지난 7월 9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고려 나전칠기 경함’은 국내에 단 한 점도 남아 있지 않아 국보급으로 불린다. 각 면에 모란당초(牧丹唐草) 무늬가 가득 장식됐으며 2만 5000여개의 자개가 사용됐다.

이미지 확대
고려 나전칠기 경함
고려 나전칠기 경함


이미지 확대
법고대
법고대


국립중앙박물관은 고려 불화보다 더 중요한 유물로 꼽히는 고려 ‘나전경함’(螺鈿經函)을 비롯해 2010년부터 최근까지 수집한 불상과 불화, 초상화, 도자기 등 문화재 12점을 모아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상설전시관에서 신소장품 특별공개전인 ‘새롭게 선보이는 우리 문화재’전을 이어 간다. 전 세계에 단 9점만 남아 있다는 고려 나전경함을 비롯해 유물 대다수가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것들이다.

높이 30㎝인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입상’은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춘 불상으로, 보석이 박혀 있는 보기 드문 작품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방형의 얼굴과 평면화된 이목구비, 얼굴이 큰 신체 비례, 선으로 새긴 옷 주름, 내의(內衣)를 입고 법의(法衣)를 양어깨에 걸친 옷차림새 등에서 전형적인 통일신라 후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 준다”고 설명했다.

정조 시대 최고의 초상화가로 꼽히는 이명기(1756~1802)가 그린 ‘김치인 초상’(1787년)은 길이 177㎝, 폭 71.5㎝로 비단에 채색한 작품이다. 왕실 화원화가인 이명기는 당시 영의정이었던 김치인을 그렸는데, 쌍학문(雙鶴紋) 흉배를 부착한 단령(團領)을 입었으며 정1품 이상이 차는 서대(犀帶)를 착용했다. 정조가 그림을 보고 내린 어찬(御贊)이 화면에 적혀 있다.

19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정왜기공도병’은 종이에 색을 입힌 것으로 정유재란의 마지막 해인 1598년 전라도 순천과 인근 바다에서 벌어진 여러 전투 장면을 시간과 공간의 흐름에 따라 묘사했다. 화면에 금채를 사용하고 구불구불한 윤곽선을 반복해 산을 표현한 점, 길쭉한 비례로 인물을 표현한 점 등이 일본 회화의 특징으로 꼽힌다. 박물관 측은 전쟁에 참여한 중국 종군화가의 그림을 일본 화가가 모사한 작품으로 보고 있다.

전시에는 이 밖에도 19세기 조선 시대 작품으로 사찰에서 불교 의식 등에 사용하던 북(법고)을 올려놓는 ‘법고대’와 15~16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조화어문 편병’, 감식안과 예술적 재능을 지닌 강세황(1713~1791)의 그림 등이 포함됐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0-14 1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