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를 만드는 불평의 기술

변화를 만드는 불평의 기술

입력 2012-05-05 00:00
업데이트 2012-05-05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평하라】가이 윈치 지음 문학동네 펴냄

정치인의 행태는 꼴불견이고, 정부 정책은 어째 그리 쓸모가 없는지 모르겠다. 직장 동료는 나보다 일을 덜 하는데도 나만큼 월급을 받아간다. 공부하려는 딱 그 순간에 엄마가 “공부 안 하느냐.”고 역정을 내신다. 기껏 학원 보내줬더니 집에서 공부하는 옆집 아들만큼도 성적이 안 나온다. 방송국은 막장드라마 따위를 만들려고 돈을 처바른다. 궁시렁궁시렁….

세상에 불평할 것들이 널렸다. 불평거리만 적어도 신문 지면이 가득 차겠다. 수도 없이 지적하고 따지는데, 그래서 세상이 변하고 있나? 이렇게 물으면, 대다수는 “그렇지 않으니까 화난다.”면서 또 불평을 할 터다.

심리치료사 가이 윈치 박사는 불평을 이용해 환자들을 치료한 경험을 응집해 ‘불평하라’(윤미나 옮김, 문학동네 펴냄)를 냈다. “오랫동안 불평 행동을 관찰하면서 불평을 장애물이라기보다 기회로 보게 됐다.”는 저자는 “불평은 단순히 고충을 토로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되고 우리 삶을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하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불평을 하려면 제대로 하라는 의미이다.

저자는 불평하는 사람들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보통 아이가 칭얼거리면 쉽게 무너지는 부모를 보면서 시작된다. ‘불쌍한 나’는 가치 있는 전략이라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성인이 돼서도 다른 사람들의 공감과 연민을 얻고자 불평한다. 이런 반응을 계속 누리려고 할 때 비로소 만성적 불평쟁이가 된다. 그러나 “그는 늘 불평만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 불평의 효과는 떨어진다.

비효율적인 불평도 문제지만 불평이 없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불평은 상황을 더 좋게 만드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훈련된 절망’으로 더 이상 불평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시스템이 고장 나서 TV를 볼 때마다 괴로움을 느낀 빌이 있다. 문제를 해결하려고 기사를 두 번 불렀는데, 문제는 해결되는 듯하다가 재발했다. 무력감을 느낀 빌은 “그 인간들은 신경도 안 쓰니까.” 더 말해봐야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현실을 받아들인다.

불평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윈치 박사의 재미있는 제안 중 하나는 ‘불평 샌드위치’다. 일단 불평하기 전 상대방에 대한 칭찬을 빵으로 깐다. 상대를 솔깃하게 만드는 도입부 격이다. 바로잡아야 할 불평사항을 고기로 얹고, 긍정적인 진술을 빵으로 덮는 식이다. 무조건 불평만 늘어놓는 것보다 “너에게 고맙고 네 상황도 이해하지만 난 정말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불평하는거야.”라고 어필하는 게 더 잘 ‘먹힌다’는 것이다.

저자는 가까운 사람에게 불평하는 기술 같은 사소한 비법부터 지역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행동주의 방식까지 다양한 사례를 들어 효과적인 불평의 기술을 전한다. 실천하기 다소 어려운 것도 눈에 띄지만, 적어도 나 자신이 불평쟁이가 아니었는지 돌아보는 계기가 되는 것은 확실하다. 1만 4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5-05 1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