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 마음을 흔든 조선의 서신 12편

상대 마음을 흔든 조선의 서신 12편

김성호 기자
입력 2018-07-26 17:42
업데이트 2018-07-26 1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조처럼 소통하라/정창권 지음/사우/26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 사회에 소외와 비인간화의 걱정이 범람한다. 진정한 소통의 부재 탓이다. 남을 배려하지 않는 ‘나’ 중심의 말·글 쓰기며 진정성 없는 내뱉기식 짧은 대화. 책은 옛 사람들의 편지를 통해 왜곡된 소통의 의미를 되짚는다. 정조, 이순신, 박지원을 비롯한 다양한 신분의 조선시대 인물 12명이 쓴 편지가 텍스트이다.

이들의 편지를 통해 전해지는 메시지는 이렇게 꿰어진다. 배려와 이해심, 솔직함, 그리고 정성이다.

그중에서도 정조는 솔직한 ‘편지 정치’의 달인이라 할 만하다. 정적마저 내 편으로 만들었던 ‘포용의 왕’ 정조. 그는 격식 없는 말투로 신하들에게 편지를 자주 썼다. 1797년 4월 10일 반대파인 노론벽파 심환지에게 쓴 편지를 보자. “‘이 떡 먹고 이 말 말아라’라는 속담을 다시금 명심하는 것이 어떠한가” “경은 과연 생각없는 늙은이라 하겠다. 너무 답답하다”. 정조의 편지에선 특히 비속어며 요즘 흔한 ‘ㅋㅋ’과 같은 껄껄(呵呵·가가)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속담과 비속어, 유머를 거침없이 써 적대적 관계의 신하 마음까지 사로잡았던 것이다.

15세기 중반~16세기 초엽의 군관 나신걸이 아내에게 쓴 편지도 흥미롭다. “집에도 다녀가지 못하니 이런 민망한 일이 어디에 있을까. 울고 가네.” 요즘 부부보다 더 솔직한 애정 표현이다. ‘하소’, ‘하네’라는 거듭된 경어체에선 아내 존중이 물씬 풍긴다. 심지어 편지 끝에는 이렇게 적고 있다. ‘아내에게 올립니다.’

이순신 장군은 정성어린 표현으로 상대를 감동적으로 설득하는 데 달인이었다. 체찰사 이원익에게 보낸 휴가 요청 편지에선 이렇게 쓰고 있다. “장수로서의 막중한 책임감 때문에 항상 걱정만 할 뿐 벌써 3년째 가보지 못했습니다. 이번에 어머니를 뵙지 못하면 다시는 모실 기회가 없을 것입니다….” 이원익은 진솔하고 애틋한 편지에 감동받아 휴가를 허락했다고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8-07-27 3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