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北황강댐 방류 ‘수공’ 아니라 ‘홍수 수위조절용’ 분석

軍, 北황강댐 방류 ‘수공’ 아니라 ‘홍수 수위조절용’ 분석

입력 2016-07-06 09:48
업데이트 2016-07-06 09: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 관계자 “수공 의심할만한 정황 현재로선 없어”

북한이 6일 남북합의를 어기고 사전 통보 없이 황강댐을 방류하면서 수공(水攻)이 아니냐는 관측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황강댐은 군사분계선에서 북쪽으로 42.3㎞ 떨어진 임진강 본류에 있는 댐으로,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하면 임진강 하류 연천군 일대에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실제 지난 2009년 9월 북한이 황강댐의 물을 예고 없이 방류하면서 남측 임진강 유역에서 야영하던 우리 국민 6명이 익사하기도 했다.

다행히도 현재까지는 이번 방류로 인한 피해가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연천군 등은 임진강 하천 주변 15곳의 경고방송 시설을 이용해 혹시 모를 낚시객이나 어민 등에게 하천 밖으로 대피를 유도했다.

군 당국은 이번 방류를 수공이라기 보다는 전날 폭우가 쏟아진 데 따른 통상적인 수위조절용으로 분석하는 분위기다.

군의 한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황강댐 방류로 물이 늘어났다는 것 외엔 아무런 정황이 없다”면서 “수공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댐에 물이 차면 빼는 것은 자연스러운 활동”이라며 “수공 여부는 북한의 방류 의도와 우리측 피해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추후 판단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선 수공을 의심할만한 정황은 포착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또 북한의 댐은 내각의 국토환경보호성이 관리하고 있으며, 방류량을 갑자기 크게 늘려도 우리 군 전력에 큰 영향을 미치기는 힘들다는 점에서 황강댐 방류를 ‘수공’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다만 북한이 남북합의를 어기고 사전 통보 없이 황강댐을 방류하면서 언제라도 민간 분야에선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는 적지 않다.

북한은 2009년 야영객 6명의 사망 직후 이뤄진 남북회담에서 황강댐을 방류할 시 방류량과 방류 이유 등을 사전에 통보하기로 한 바 있다.

북한은 2010년까지는 약속을 지켰지만 2011년 이후에는 사전 통보 없이 황강댐의 물을 방류하기 시작했다.

북한은 지난 5월에도 통보 없이 두 차례 황강댐을 방류해 임진강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서 어민들이 생계수단인 어구를 미처 거둬들이지 못해 강물에 떠내려 보낸 피해 사례도 있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