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정략적 의도의 공천배제는 수용 못해”

이해찬 “정략적 의도의 공천배제는 수용 못해”

입력 2016-03-16 13:43
업데이트 2016-03-16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민주 세종시 후보공천은 ‘저격공천’으로 공분 살 것”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이해찬 의원은 16일 “공천과정에서 아무런 하자가 없음에도 정무적 판단이라는 정략적 의도를 갖고 공천에서 배제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어서 무소속 출마를 결심하게 됐다”며 다시 한 번 출마 의지를 강하게 밝혔다.

이해찬 의원이 16일 오전 세종시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더불어민주당 탈당과 함께 4·13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해찬 의원이 16일 오전 세종시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더불어민주당 탈당과 함께 4·13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의원은 이날 지역구인 세종시 도담동 선거사무소에서 공천배제 후 처음으로 연 공식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공천과정에서 본인들도(중앙당) 인정했듯이 도덕성과 경쟁력, 의정활동에서 아무런 하자가 없음에도 공천에서 배제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평생 정치하면서 불의에 타협해 본적은 한 번도 없었다”라며 “정치라고 하는 것이 사회를 공정하게 만들려는 것이고, 불의에 타협하는 정치는 결코 국민에게 공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치를 하면서 정도를 걸어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치는 항상 올곧고 선한 마음으로 해야 된다는 것이 나의 정치철학이고,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배운 정치 경험”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4년 전 불모지에서 시장도 배출하고 15명의 시의원 중 우리당이 9명을 차지할 정도로 세종시를 잘 만들고 있었는데 갑자기 이렇게 예상치 않은 상황이 와서 당황스럽다”며 “세종시는 앞으로도 국가적인 정책 차원에서 만들어가는 도시이기 때문에 할 일이 많다. 김종인 대표가 세종시를 버렸지만 저는 세종시를 버릴 수 없는 무한책임을 질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춘희 세종시장도 탈당을 고심했지만, 시정에 전념하도록 이를 만류했다”며 “(내가) 당을 버리는 것이 아니고 당 대표자의 정략적인 판단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세종시에서 더민주와 함께 하지는 못하지만 같은 마음으로 세종시를 발전시키겠다”고 피력했다.

더민주의 세종시 후보 공천에 대해서는 “공당이기 때문에 후보를 낼 수는 있겠지만, 시민이 느끼는 분위기는 공천도 잘못했는데 또 이해찬을 떨어뜨리기 위한 ‘저격공천’으로 공분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김종인 대표에 대한 서운한 감정도 드러냈다.

그는 “탈락시키려면 다른 대안을 갖고 탈락시켰어야 했다”며 “나도 공천을 직접 해 봤지만, 공천에서 탈락을 시키려면 불러서 설명하고 양해를 구해야지 이렇게 하는 것은 아니다. (저와) 상의했으면 얼마든지 받아들였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김종인 대표가 말한 ‘정무적 판단’에 대해서는 “정확한 것은 말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르지만, 친노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며 “하지만 세종시는 노무현 대통령이 결단해서 만든 특별자치시로 이곳에서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쳐내는 것은 세종시민에 대해 잘못된 정무적 판단”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는 그렇게 하면 안된다. 우리 당은 그동안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두 기둥을 갖고 집권도 하고 발전했다. (친노를) 척결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명분과 정당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전 대표와 공천에 대해 사전에 연락을 주고받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공천배제 전날 통화했다”며 “문 전 대표도 (내가) 공천에서 배제된다는 분위기를 감지하고 여러 경로로 비대위원들에게 본인의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김 대표가 워낙 완강해서 관철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