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오래 일하는 공간”이니 알록달록하게 ‘데스크테리어’

“어차피 오래 일하는 공간”이니 알록달록하게 ‘데스크테리어’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8-27 14:30
업데이트 2019-08-27 16: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혜영씨가 카카오 라이언 인형을 껴안은 채 사무실에서 밝게 웃고 있다. BBC 홈페이지 캡처
나혜영씨가 카카오 라이언 인형을 껴안은 채 사무실에서 밝게 웃고 있다.
BBC 홈페이지 캡처
나혜영씨의 책상 위 모습. ‘미니언즈’ 등 할리우드 영화 캐릭터 피규어 등이 눈에 띈다, BBC 홈페이지 캡처
나혜영씨의 책상 위 모습. ‘미니언즈’ 등 할리우드 영화 캐릭터 피규어 등이 눈에 띈다,
BBC 홈페이지 캡처
“어차피 오래 일해야 하니 일하는 공간이라도 개성있게 꾸미자.”

다른 나라도 아닌 한국 직장인들의 생각이다. 영국 ‘BBC 워크’가 27일 ‘장시간 근무에 적응하기 위해 한국 근로자들이 쓰는 창의로운 방법’이란 제목을 붙여 소개한 기사다. 줄리 이윤녕 기자가 작성했고 동영상은 권문 기자가 촬영해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세일즈 매니저 나혜영(30)씨는 할리우드 영화의 캐릭터를 본뜬 피규어들로 사무공간을 장식한다. “새 피규어를 구입하면 집에 전시하지 않고 일단 직장에 가져온다.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서 보내기 때문이다.” 그녀는 일하는 곳을 예쁘게 꾸미는 것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직장에 나만의 방을 갖춘 느낌이다. 내 업무가 새로운 제품을 찾아내 고객들에게 소개하는 일인데 창의적일 필요가 있다. 내 취향에 따라 책상을 다채롭게 꾸며 놓으면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은행원 이주희(35)씨가 일하는 책상은 온통 핑크빛 동화 톤이다. 가습기와 선풍기, 공기정화기, 텀블러 등 모든 것이 앙증맞다. 그녀의 핑크 사랑은 컴퓨터 키보드에도 번졌다.

“6년 정도 일하고 있는데 입사하면서부터 데스크를 꾸미고 있다. 한달 평균 3만~4만원을 꾸미는 데 쓰는데 신제품이 마음에 들면 15만원까지 치솟기도 한다. 큰돈이 드는 건 아니다. 사무실에서 사랑스러운 품목들을 쳐다봐 봐도 기분이 좋아진다.”

은행 직원의 데스크가 파스텔 톤으로 꾸며져 있으리라고 예상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그녀의 데스크는 선진국 가운데 가장 긴 노동시간을 자랑하는 이 나라에서 사무공간을 집과 거의 같게 꾸미거나 개인공간으로 꾸미려는, 이른바 데스크테리어(desk+interior) 현상을 잘 보여준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주 68시간 근무를 52시간으로 축소해 생산성을 높이고 일과 삶의 균형을 찾게 하겠다고 표방했지만 여전히 많은 젊은이들은 책상에 붙박혀 있다.

이씨는 “잠잘 때 말고는 많은 시간을 사무실에서 보낸다. 무미건조한 공간으로 여기기 쉬운데 이렇게 핑크빛 데스크는 일할 맛이 나게 한다”고 말했다.
은행원 이주희 시의 사무 공간. 핑크빛 일색으로 앙증맞은 소품들이 눈에 띈다. BBC 홈페이지 캡처
은행원 이주희 시의 사무 공간. 핑크빛 일색으로 앙증맞은 소품들이 눈에 띈다.
BBC 홈페이지 캡처
2017년 잡코리아가 788명의 직장인을 설문 조사한 데 다르면 여성 가운데 44%, 남성 가운데 29.7%가 스스로를 ‘데스크테리어 인간’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인 20대는 44.6%, 30대는 36.5%, 40대는 26.9%로 나타나 어릴수록 이런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데스크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재빠르게 이를 충족시켜주는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무선 키보드, 랩톱 스탠드, 예쁘장한 데스크 매트, 쿠션, 무드 조명등, 액션 피규어, 목 보호대, 작은 화분, 공기청정기 등이다.

앞의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68.8%의 직장인들이 작업 공간을 꾸미는 데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5000명 이상의 인스타그래머들은 해시태그 #deskterior를 달아 자신만의 개성 넘치는 사진들을 올려놓고 있다.

한국에서 열심히 일하는 일은 미덕으로 여겨져왔다. 한국인은 한 해 평균 2024시간을 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1746시간을 훨씬 웃돌았다.

이향은 성신여대 교수는 데스크테리어 노력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장을 조금 더 편안하게 만드는 효과보다 오히려 특히 젊은 사람들의 일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바꾸고 있다고 봤다. 이 교수는 “한국은 지금 근무 환경의 중대한 변화를 겪고 있는 중이다. 일과 삶의 균형은 커다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더 많은 이들이 일의 성과 만큼이나 개인의 행복을 우선시한다는 얘기다. 지겹기만 한 일상의 루틴 가운데 개인의 편안한 공간을 찾는 경향에서 데스크테리어 현상이 나온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젊은 세대가 이를 맹렬히 추구한다고 해서 모든 세대의 직장인들이 이를 이해하지 는 못한다. 이주희 씨의 경우 50대 남성 상사들은 재정적으로 쪼들리지 않나 걱정하고, 나머지 젊은 세대들은 이씨의 선택을 좋아한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