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고 쪼그라든 서울…고령사회에 ‘천만 서울’은 곧 옛말로

늙고 쪼그라든 서울…고령사회에 ‘천만 서울’은 곧 옛말로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9-17 09:29
업데이트 2019-09-17 09: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말 1천4만명→올 연말께 1천만 이하 예상…65세 이상 14% 넘어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의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의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수도 서울의 수식어 중 하나인 ‘천만 서울’은 곧 틀린 표현이 된다.

지역 젊은이들이 모여들어 활기를 더하던 서울도 고령화의 물결에 휩쓸렸다.

서울시는 2018년 말 서울시 전체 인구가 1천4만9천607명으로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서울시에 등록된 내국인 976만5천623명과 외국인 28만3천984명을 합한 것이다.

서울시 인구 중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였다. 반면 외국인은 1995년 4만5천명에서 지난해 28만4천명 선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시는 최근 3년간 전출자 수에서 전입자 수를 뺀 ‘순전출’ 인구가 평균 8만명 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 시 등록인구가 1천만명 이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 인구 감소의 최대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간 인구가 36만8천536명, 경기도에서 서울로 온 인구가 23만3천320명으로 서울 입장에서 순전출은 13만5천216명이었다.

서울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로 2만5천321명이었다.

시가 시민 1천명을 상대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서울의 꾸준한 인구 감소에 대해 서울시민 39.6%는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답했다.

37.9%는 ‘부정적’, 22.5%는 ‘긍정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인구 감소로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과 주거(43.1%),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60.9%)와 복지(59.4%) 등을 꼽았다.

지난해 서울시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은 141만297명으로 14.4%를 차지, 서울이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65세 이상 서울 인구는 135만9천901명으로 전체의 13.8%였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서울은 2005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바 있다. 현재 추세라면 2026년께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시는 전망했다.

65세 이상 인구가 늘고 14세 이하 인구는 줄어들면서 생산 가능 연령층인 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 부양비는 1998∼2013년 31%대를 유지하다가 점차 오르기 시작해 2018년 34.1%을 기록했다.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의 자연증가는 1992년 14만5천여명에서 지난해 1만3천여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급격한 인구변화에 따라 행정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인 만큼 면밀하게 분석해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